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중
뒤
아래
이후
이래
뉴스
"
이하
"(으)로 총 3,807건 검색되었습니다.
FDA '한 번만 맞는' 존슨앤드존슨(얀센) 코로나 백신 긴급사용허가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1.02.28
때문에 백신 예약과 의료진도 더 적게 필요하다. 화이자 백신과 모더나 백신이 영하 20도
이하
의 초저온 냉동고에서 유통보관하는 방식인 반면 2~8도 냉장고에서도 3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워싱턴포스트는 FDA의 이번 승인으로 미국의 백신 접종 속도가 빨라지고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21.02.25
국내 전문가들이 전달하는 최전선의 지식과 정보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 종식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https://www.ibs.re.kr/cop/bbs/BBSMSTR_000000001003/selectBoardArticle.do?nttId=19685&pageIndex=1&searchCnd=&searchWrd= ... ...
"백신 중증 부작용 인한 사망자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효능과 안전성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전문가들은 26일부터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65세
이하
환자 및 종사자에게 접종이 시작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성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접종을 권고했다. 부작용에 대해서도 코로나19 백신이 부작용은 기존 다른 백신과 같은 ... ...
질병청 "가족간 감염,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4배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1.4~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0~14세는 감염 전파자가 피감염자의 절반
이하
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JKMS 제공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전파 방향은 확실하지 않으며 어린이 검사 횟수가 적은 만큼 연구 결과가 제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성인이 포함된 가정에서 코로나19 전파에 ... ...
코로나 접촉 위험 알림 서비스 뒤에 ‘철옹성’ 암호 기술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않았다. 이에 따라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작년 10월 확진자의 이동 경로에서 읍·면·동
이하
의 정보는 공개하지 않도록 하는 지침을 발표하자 감염 의심자와 확진자의 동선이 겹치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부작용이 나왔다. 이런 상황에서 '동형암호' 기술을 적용해 개인정보 유출 걱정 없이 ... ...
코오롱생명과학 임원들 '인보사 성분조작' 혐의 무죄(종합)
연합뉴스
l
2021.02.19
사진합성·일러스트 코오롱생명과학 임원들이 골관절염 유전자 치료제 인보사 케이주(
이하
인보사) 성분을 조작하고 당국에 허위 서류를 제출한 혐의로 기소됐으나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3부(권성수 김선희 임정엽 부장판사)는 19일 코오롱생명과학 이사 조모씨와 ... ...
북극 찬공기 가둔 제트기류 둑 터지자 영하 39도의 한파가 미국을 때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기록했다. 미국 기상청은 중부 지방에 폭풍을 동반한 한파로 주민 5000만명이 영하 18도
이하
의 강추위를 겪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미국을 강타한 폭설과 한파의 원인이 북극 온난화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상청은 “지난해 12월부터 강한 ‘음의 북극진동’과 함께 올해 1월 초부터는 ... ...
전세계 코로나19 확진자 5주 연속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확진자 규모와 비슷해졌다. 1월 8일 85만 8062명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던 때보다 절반
이하
로 감소했다. 15일까지 2775만 3823명으로 가장 많은 코로나19 확진자를 낸 미국은 백신 접종을 시작하며 확진자 규모가 계속해 줄고 있다. 미국의 15일 신규 확진자는 5만 3944명이다. 지난해 10월 18일 4만 9307명을 ... ...
[한 토막 과학상식]빛이 경계면 따라 흐르는 광스핀홀 효과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빛만 계속 투과하면서 광스핀홀 효과가 증폭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 1mm
이하
파장을 가진 마이크로파와 같은 고주파 영역에서 투과된 빛의 편광을 분석한 결과 효율이 100%에 가까운 광스핀홀 효과가 일어나는 것을 검증했다. 노 교수는 “광스핀홀 효과를 증가시키는 기존 연구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해보기로 했다. 연구자들이 고른 종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야생벼(학명 Oryza alta.
이하
알타)로 CCDD형이다. 수천 년 걸린 작물화 10년 만에 완성 1960년대 녹색혁명에서 벼의 키가 작고 낟알이 많이 열리게 만드는 sd1 유전자 변이의 발견이 큰 역할을 했다. 게놈편집기술로 이 변이형을 알타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