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량
대량
많음
풍부
대다수
무수
잔뜩
뉴스
"
다수
"(으)로 총 1,996건 검색되었습니다.
면역질환 이용해 ‘암’ 치료하는 길 열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7
심할 경우 생명까지 위험한 경우도 있다. 증세를 조절할 방법은
다수
개발되고 있지만 자가면역질환을 조절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의학계의 중대 연구과제 중 하나다. 면역질환 이용해 암치료 하는 길 열렸다 -GIB 제공 이런 자가면역질환을 조절해 도리어 암세포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 ...
[뉴스룸]‘돈벌이 학회’에 숨은 도덕적 해이 해결하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8.06
최근
다수
의 국내 연구자가 와셋(WASET) 등 허위 학술단체가 주관하는 가짜 학회에 참가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런 단체는 돈벌이를 목적으로 운영된다. 제출한 논문의 수준과 상관없이 발표를 승인하고, 그 대가로 적잖은 참가비를 받는다. 일부 연구자는 이런 학회에 참석한 대가로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당신도 해적입니다...반사회성의 진화
2018.08.05
악한 것이 아닙니다. 선악의 개념은 인간 사회에서 처음 생겼는데, 반사회적 행동은
다수
의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므로 ‘악’한 행동으로 굳어진 것인지도 모릅니다. 모든 사람이 꺼리고 있기 때문에, 이들은 감옥에서 인생을 허비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사회적인 사람은 인간 사회에 늘 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후각수용체 400개 가운데 인식하는 분자를 알고 있는 건 10% 수준에 불과하다. 그나마 대
다수
는 후각상피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달라붙는 냄새분자들이다. 반면 개체 내 또는 개체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관점에서 후각수용체와 인식하는 분자가 규명된 건 몇 개에 불과하다. 아직 갈 길이 멀다는 ... ...
꿀벌이 새 여왕 뽑는 기준은 가족보다 ‘왕족’
과학동아
l
2018.07.27
거친 DNA 샘플을 유전자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시각화했다. 그 결과 여왕벌
다수
가 군집에서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하위가족 출신이지만 이전의 여왕벌과 근친도가 높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새로운 여왕벌을 키우는 과정에서 개체 한 마리의 이득보다 전체 군집의 이익을 택한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수학을 강조하고 지원하는 영국의 교육 정책
2018.07.25
년간 1600만 파운드(약 233억 7,000만 원) 증액한다고 밝혔다. 영국 정부의 조사 결과, GCSE 후
다수
의 학생들이 수학 수강을 철회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고, 이는 학습자의 취업경쟁력 및 국가 경제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였다. 영국 정부는 늘어난 예산이 보다 많은 학습자들이 A레벨 시험의 수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무섭게 늘고 있는 중국의 육류소비 학술지 ‘사이언스’ 7월 20일자에는 오늘날 가축 대
다수
가 구조적으로 이런 삶을 살 수 없음을 보여주는 리뷰논문이 실렸다. 즉 지구촌 사람들의 육류소비량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 이를 맞추려면 육지 전체를 농장으로 바꾸지 않는 이상 가축들이 여유 ... ...
이해할 수 없는 사진
팝뉴스
l
2018.07.20
혹시 두 사람이 격투를 벌이고 있는 것은 아닐까. 다양한 시나리오가 제시되지만
다수
가 동의할 설득력 높은 주장은 보이지 않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 ...
‘인공태양’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장치운영부장에 오영국 핵융합硏 부소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7.18
플라즈마불안정성(ELM) 상태를 제어하는 데 성공하는 등 ITER에 적용 가능한 연구 성과를
다수
얻은 바 있다.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당시(2008년) - 과학동아 제공 핵융합연 측은 “한국이 KSTAR 개발로 우수한 핵융합 장치 제작 능력을 인정받은 데 이어 장치 운영과 실험 분야에서도 ... ...
중국에서 210만 년 석기 발견...‘아시아 최초의 인류’ 정설 바뀌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212만 년 전 석기. -사진 제공 주자오유중국과학원 교수 중국에서 210만 년 전 석기가
다수
발굴됐다. 지금까지 아프리카 밖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인류가 처음 아프리카를 벗어나 유라시아에 진출한 시점도 210만 년 전 이전으로 크게 앞당겨졌다. ‘최초의 아시아인’의 정체가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