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뉴스
"
결국
"(으)로 총 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뚜기떼 습격 막을 길 열렸다..."핵심은 체취"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한번 한 마리에게서 분비가 시작되면 주변에 모인 메뚜기들에게서 분비가 되고
결국
떼를 이룬다. 연구팀은 '4-비니아니솔이(4-VA)’라는 달콤한 냄새를 내는 유기 화합물이 다른 메뚜기를 유인하는데 활용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화합물을 접한 메뚜기들은 수명과 성별에 상관없이 ... ...
삼성서울병원 정밀의학 연구플랫폼, 연구중심병원 신규 지원사업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된다. 환자의 유전체를 분석해 환자 맞춤형 치료 제공이 가능하다. 이런 분석에 기반해야
결국
면역 항암치료도 가능하다. 이를 통칭해 정밀의학이라 부르는데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은 관련된 임상연구와 플랫폼을 마련할 계획이다. 과제에는 향후 8년 6개월동안 총 186억원이 지원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쓸 수 있는 녹말도 고갈되고 발효로 세포질의 산성도가 커지면서 세포 손상이 일어나
결국
식물체가 죽게 된다. ○벗어나는 대신 견디는 전략 택해 널리 재배되는 인디카 품종 스와르나(Swarna)는 침수 내성이 없어 2주 동안 침수되면 죽어 물이 빠지고 2주가 지난 시점에서는 누렇게 떠 있다(왼쪽). ... ...
[주말N수학] 전쟁의 아픔을 수학으로 달랜 수학자 김기항
수학동아
l
2020.08.08
놓였다. 가족과 함께 북한에 남을지 미군과 함께 남한으로 후퇴할지를 결정해야만 했다.
결국
그가 북한에 남았을 때 미군을 도운 것 때문에 처벌받을 것을 염려한 아버지의 강한 권유로 홀로 남한으로 내려온 김 박사는 다시는 가족과 함께 살 수 없게 됐다. 가족의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홀로 ... ...
엑셀 썼다가 날짜로 오인돼 이름 강제로 바뀐 유전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논문 데이터가 날짜로 바뀌는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를 공개하기도 했다. 학계는
결국
백기를 들었다. HGNC 지침에 따르면 MARCH1은 MARCHF1으로, SEPT1은 SEPTIN1로 바꾸는 등 엑셀에서 문제가 있던 유전자의 이름이 바뀐다. HGNC의 지침 자체는 강제성은 없다. 하지만 학계 대부분이 연구자들과 합의를 ... ...
히로시마 원폭 투하 75년...국내에서도 피해자 가족·가계연구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6일 히로시마에, 사흘 뒤인 9일 나가사키에 각각 원자폭탄을 떨어뜨렸다. 그 결과 일제는
결국
연합군에 손을 들었고 한국은 해방의 기쁨을 맞았지만 한편에서는 막대한 피해가 난 인류 최대의 비극적 사건이라는 평가도 있다. 두 도시에서만 최대 22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원폭 투하의 직간접 ... ...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그러니까 19세기 프라운호퍼의 흡수 스펙트럼 발견, 분젠과 키르히호프의 분광분석법이
결국
20세기 태양과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기틀이 된 셈이다. 분광법이라는 유력한 무기가 있으니 이를 태양에만 써먹었을 리는 없다. 영국의 윌리엄 허긴스(1824~1910)와 그의 부인 마거릿 허긴스(1848~1915)는 ... ...
'힉스 입자'의 뮤온 직접 붕괴 실험으로 첫 확인...한국CMS팀 큰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입자가 생겨나 이를 관측해 힉스 입자의 질량을 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며 “
결국
신호가 깔끔한 렙톤(경입자)으로 붕괴하는 과정을 관측해야 하는데, 렙톤 가운데 전자는 너무 가벼워 힉스 입자와 상호작용이 약하고 타우는 무겁지만 수명이 짧아 바로 붕괴하는 단점이 있다”고 말했다. ... ...
후추에서 특정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하는 것이 정석이다. 컴퓨터를 이용하면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는 있다. 하지만
결국
실제 세포에 처리하는 것을 대체할 방법일 뿐 절대 실제 세포 결과만큼 정확하지 않다. 비용과 시간이 허용이 된다면 실제 스크리닝이 더 확실한 결과를 보여준다. Q. 파이퍼롱구민을 발굴한 것도 성과지만, 약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라카 원전의 시운전을 지켜보며
2020.08.05
남에게는 ‘신의 축복’이 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렇다고 세상이 만만한 것은 아니다.
결국
우리가 지어놓은 바라카 원전의 유지‧보수는 포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UAE가 전문 인력도 사라지고, 부품 시장도 붕괴될 우리에게 원전의 미래를 맡겨줄 것이라는 기대는 환상이다. 정재훈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