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뉴스
"
겨울
"(으)로 총 1,781건 검색되었습니다.
월악-오대산에도 ‘황금박쥐’ 살고 있었네
동아일보
l
2016.01.18
이르고,
겨울
잠에서 깨고도 낮에는 숲 속 깊은 곳에서 자고 주로 밤에 활동하는 동물. 한
겨울
에도 12도 안팎의 따뜻한 기온이 유지되는 폐광 등을 잠자리로 삼기 때문에 발견이 특히 어려운 종으로 꼽힌다. 지난해 3월에는 치악산에서 붉은박쥐가 발견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최근 백두대간 지역이 ... ...
[김희균 기자의 교육&공감]대학 개편도 좋지만 근시안은 더 위험
동아일보
l
2016.01.18
말 기본계획이 확정된 이후 대학마다 연간 50억∼300억 원을 받기 위해 학과를 개편하느라
겨울
방학 내내 몸살을 앓고 있다. 개편 지침은 단순하다. 취업이 안 되는 학과는 없애고, 취업이 잘될 만한 학과를 늘리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학들은 인문계 학과를 줄이고, 이공계 학과를 늘리려 하고 ... ...
[토요판 커버스토리]1경4000조원 시장 新에너지 혁명 ‘쨍’
동아일보
l
2016.01.16
모두 쓰고도 남는 넉넉한 전력을 생산해낸다. 마을 주민 이승관 씨(78·여)는 “추운
겨울
에도 가스가 떨어질 걱정을 하지 않아도 돼 정말 다행”이라고 말했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파리 협정’이 탄생하면서 세계가 새로운 에너지 혁명을 위한 질주를 시작했다.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의 온도 ... ...
생생한 새의 생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14
지방이에요. 새들이 추운
겨울
을 따뜻하게 지내려면 지방 섭취가 필요해요. 하지만
겨울
엔 벌레들이 많이 없어서 새들이 지방을 섭취하기가 어려워요. 이렇게 정육점에서 고기 지방을 얻어와 나무에 매달면 새들이 와서 먹고 간답니다.” 정원 한쪽의 작은 언덕에는 새를 관측할 수 있는 망원경이 ... ...
“내 자식은 무조건 이과”… 학부모 쏠림에 科高 ‘뜨고’ 外高 ‘지고’
동아일보
l
2016.01.14
말했다. 학원가에서는 조기 수학·과학교육이 성행한다. 서울 양천구 목동의 A학원
겨울
방학 특강반은 영어는 2개인 반면 수학은 10개가 넘게 개설됐다. 이 학원 실장은 “문과는 연고대를 나와도 답이 없다며 이과를 보내겠다는 중학생 학부모가 많다”고 했다. 같은 지역의 B과학학원은 “자녀가 ... ...
내 몸에 박힌 금속, 1년 뒤엔 저절로 분해돼 사라져
2016.01.13
준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곳곳에 살얼음이 얼어 있는
겨울
은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 흔히 일어나는 계절이다. 골절이 심하게 일어날 경우 부러진 뼈를 고정하는 금속 임플란트를 사용하는데, 회복 후에도 몸 속에 남아 있어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불편한 점이 있었다. ... ...
눈길 움켜쥐는 말랑말랑 잔주름
동아일보
l
2016.01.12
이상 구매할 시 사용하던 타이어를 보관해 준다. 금호타이어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서
겨울
용 타이어 교체 시 기존 타이어를 회사에서 무료로 보관해 준다. 넥센타이어는 대리점 ‘타이어뱅크’를 통해 같은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한다. 박은서 기자 clue@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독감 유행하고 있다는데 지금 예방주사 맞아도 되나요?
동아일보
l
2016.01.11
내려가고 일교차가 클수록 면역력이 떨어져 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그런데 올해
겨울
은 강한 엘니뇨 현상으로 포근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한반도의 날씨는 1973년 이래 가장 따뜻한 기온을 기록했을 정도. 추울수록 독감이 기승을 부린다는 점을 감안할 때 올해 독감은 상대적으로 ... ...
“지질학의 최대 매력은 삶에 직접 연결된 것”
2016.01.11
전했다. 다만 거친 자연과 가까이 해야 하는 만큼 힘든 일도 있기 마련이다. 그는 “
겨울
철이면 칼바람을 맞을 각오를 해야 한다”며 “연구원들에게 제주도는 화려하고 즐거운 관광지라기 보다는 힘들고 추운 연구 현장”이라며 웃어 보였다. 그에게 ‘지자연’으로 3행시를 부탁했다. ... ...
서해에 나타난 멸치, 독도까지 올라간 옥돔
동아일보
l
2016.01.09
상승으로 한반도 주변의 어장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따뜻한 물에 사는 난류성 어종이 한
겨울
동해와 서해에도 나타나고 있다. 오징어를 비롯해 대표적인 남해 어종인 멸치도 동해, 서해를 가리지 않고 한국 바다 전역에서 잡히고 있다. 제주도 인근에서만 잡히던 옥돔이 지난해 6월 독도에서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