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실재
실제
진실
실태
실질
d라이브러리
"
현실
"(으)로 총 3,56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같다.튜링의 생각하는 기계에 대한 전망은 21세기에 뇌과학과 컴퓨터의 발달을 통해
현실
이 되어가고 있다. 물론 학습하는 인공지능은 인간만큼 학습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번 학습을 끝낸 인공지능이 만들어지면 복제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쓰게 될 것이다. 이러한 학습 기계가 어느 날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만들어내는지 분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지만, 사실 이런 경우는 드물지 않다. 왜냐하면
현실
세계의 혜택은 기초 연구에서 물거품처럼 솟아나오는 일이 잦기 때문이다(74쪽).”우리나라에서 꿀벌의 배설물을 연구하겠다고 하면 연구비를 타기는 커녕 이상한 사람 소리만 안 들어도 다행이다. 아니 이런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에반게리온’ 속의 한 장면이다.애니메이션에서나 가능할 줄 알았던 이런 모습이 벌써
현실
이 됐다.지난 5월 17일 과학저널 ‘네이처’의 홈페이지에는 한 편의 논문과 함께 지난해 4월에 촬영한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 속의 50대 여성은 로봇 팔을 조종해 커피를 마셨다. 여성의 이름은 캐시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수학 지식은 감각적 지식과 달리
현실
에서나 꿈속에서나 똑같이 성립한다. 꿈속에서나
현실
에서나 ‘2+3=5’다.데카르트는 여기에서 악마를 불러냈다. 사람의 생각을 자유자재로 주물럭거리는 악마다. 이 악마는 본래 ‘2+3=4’인데, 사람들이 계산을 할 때마다 끼어들어 ‘2+3=5’라고 속일 수 있다.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조사해 봐야 동해의 형성 과정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15km 깊이는 아직
현실
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동해의 형성 과정에 대한 가설과 이론은 아직까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동해에 해양지각이 먼저 형성됐다는 증거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그림에서 ... ...
모든 비과학에 맞선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말하는가?”도킨스는 생물의 다양성과 진화, 천체의 특성,기상 현상의 원리 등
현실
의 모습을 설명하며 거기에 얽힌 신화와 미신 이야기를 먼저 소개한다. 그리고 “정말(really) 그럴까”라며 과학적인 설명을 이어간다. 이것은 신화와 미신의 세계가 과학과 합리성의
현실
(reality)로 변해가는 과정과 ... ...
Norway Killer Played Violent Games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한 행동의 원인을 게임이라고 지목했다고 말하지는 않았지만 짐작은 가능하다.
현실
은 더욱 복잡하다. 폭력적인 게임과 공격적 행동증가를 연결하려던 초기 연구들은 가정사와 정신건강, 성별 등 주요 변수들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더 폭넓은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브레이빅은 ‘2083년 유럽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총 30억 개였다. 현재 분석 기술로는 인간의 완전한 뇌신경 연결 지도를 알아내는 것은
현실
적으로 어려워 보인다. 단순 계산만으로도 연결성 정보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컴퓨터 용량만 수 페타바이트(1페타바이트는 1000조바이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결국 뇌과학자와 뇌공학자들은 조금 더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엄청난 부피의 바닷물은 어찌할 것인가. 엄두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과학은 항상 상상을
현실
로 만들었다.태평양 해저터널은 어디에 쓸까. 비행기를 타지 않아도 미국에 갈 수 있다. 자동차나 열차는 비행기보다 훨씬 느리다고 낙담하진 말자. 우리에겐 시속 900km 이상으로 달릴 수 있는 ... ...
[5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 있는 방법이나 시간도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인터넷이나 책에 주로 의존해야 하는 게
현실
이다. 그래도 욕심을 조금만 더 내 보자. 많은 청소년 기자들이 쓰고 있는 내용에서 한단계만 더 나아가면 된다. 어렵지 않다. 다만, 마지막 한가지 충고. 인터넷에 있는 정보나 자료를 그냥 쓰지는 말자.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