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성과를 얻었다. 그런데 정부에서 연구 성과를 평가한다고 하는데…, 우리가 논문을 낸 학술지들은 영향력지수가 그렇게 높지 않아서 조금 걱정이 된다. 한국의 국가 R&D 예산은 대부분 응용연구나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춘 콘트랙트 형태다. 이른바 ‘추격형 연구’에 적합한 방식이다. ‘선도형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할 수 있다고 장담한 것이다! 같이 연구를 해보자고 꼬드겼다. 그 결과가 바로 올해 8월 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에 발표한 ‘생명체 거주 가능성의 진화(Evolution of galaxy habitability)’다.고밧 연구원과 필자는 우리은하를 넘어 관측 가능한 우주 전체를 대상으로 골디락스 행성의 분포를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구별할 수 있다. 스위스 제네바대 정신건강의학과 마티유 아르민존 박사팀이 지난해 학술지 ‘플로스원’에 밝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은 0.1~0.31초 밖에 되지 않는 찰나에도 다른 사람의 표정을 읽고 감정을 파악할 수 있다.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다. 표정을 100% 정확하게 읽을 수는 없다. 표정이 ... ...
- [수학뉴스]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영국 런던에서 서쪽으로 약 130km 떨어진 솔즈베리 평원에는 ‘스톤헨지’라고 불리는 유명한 관광 명소가 있습니다. 거대한 돌기둥이 원형으로 늘어서 ... 천문 관측이 5000년전부터 이뤄졌다고 말할 수 있게 됐습니다.연구 결과는 ‘고고학 국제 학술지’ 8월 8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습니다 ...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커다란 물고기의 배설물이 산호초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워싱턴대 해양및수산과학대 제이콥 알제이어 교수팀은 ... 바다 생태계에 꼭 필요한 영양소를 없애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8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늦추어 놓고, 자기는 내 아이디어에 이름만 덜렁 붙여서 마치 자기 이론인 양 최고의 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을 싣다니.물론 메이나드 스미스는 네이처에서 거부당한 뒤 ‘아메리칸 내추럴리스트’에 안착한 해밀턴의 1963년소논문을 인용했다. 그러나 해밀턴뿐만 아니라 1955년에 할데인이 발표한 ... ...
- [과학뉴스] 임상종양학회지 (Journal of Clinical Oncology)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영향력을 평가하는 ‘임팩트 팩터(IF)’가 20.982였다. 임상 암 연구 결과를 다루는 학술지 중 최고다. 저널에는 위암, 유방암, 피부암 등 주요 암뿐만 아니라 임상 시험 방법론, 역학 연구, 생존자 건강관리 등도 싣는다. 올해 9월 1일자에는 혈액 검사로 약에 대한 내성 반응을 체크하고, 가능한 한 빨리 ... ...
- [과학뉴스] 우유로 만든 피자박스의 탄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미국 농무부는 미국화학학회(ACS) 학술회의에서 우유로 만든 포장재를 소개했다. 이 포장재는 우유에 들어 있는 단백질 중 80%를 차지하는 카제인으로 만들었다. 연구팀은 카제인에 시트러스 펙틴을 넣어 응고시켰다. 시트러스 펙틴은 감귤, 레몬 등에서 얻을 수 있는 탄수화물 중합체로, 잼이나 ... ...
- [과학뉴스] 남해에서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 세계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백악기 때 살았던 도마뱀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백악기에 살았던 도마뱀의 화석은 여러 번 발견됐지 ... 연구팀이 화석을 발견한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도 당시 호숫가였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백악기연구’ 8월 26일자 온라인호에 실렸다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곤충이 알려주는 것(What insects cantell us about the origins of consciousness)’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3일자에 발표했다. 논리는 이렇다. “인간의 의식은우리 뇌의 핵심 영역인 중뇌에서 비롯된다. 그런데 곤충 뇌의 ‘중심복합체(central complex)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