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리"(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늑대 이야기를 하면서 할머니는 바삐 움직였어요. 다 먹은 케이크와 과일 부스러기를 정리하고 털실 무더기를 감아 서랍 속에 고이 담아 두었지요. 서랍에 담겨 있던 커다란 지도를 한 손에, 빨간 모자가 가져온 바구니를 다른 한 손에 들고 문 밖으로 나서는 할머니를 따라 빨간 모자도 종종걸음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정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A도 수와 대응이 되어 AB에 대응되는 점을 찾을 수 있다. 다시 정리하자면, 직선상의 점의 길이를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0이 필요하고, 수를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0과 1이 둘 다 필요하다.기하의 연산 그런데 때로는 단위를 정하기 전에 AB를 정의하기 위해서 ‘면적’의 개념을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발전은 가히 개벽이라 불릴 만한 변화를 겪으며 초고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4색문제(4색정리)4색문제는 평면을 유한개의 부분으로 나눠 각 부분에 색을 칠할 때, 서로 이웃하는 영역을 다른 색으로 칠해야 한다면 네 가지 색으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프랜시스 구드리의 질문에서 시작된 이 문제를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다항식 f(x)에 대해서 y²=f(x)꼴의 일반적인 방정식도 공부했다. 앞서 언급한 팔팅스의 정리에 의하면 이 방정식은 대체로 유리수 해가 유한하다. 그런데 놀랍게도 바르가바는 수의 기하 방법론을 적용해, 해가 유한한 정도가 아니라 f(x)의 차수가 커지면서 방정식의 유리수 해가 전혀 없을 확률은 1에 ...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한다. 우리말 어휘 중에서 긍정과 부정 등의 감정에 해당하는 어휘들을 집합으로 나누어 정리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는 우리말 감정 표현 단어에 대한 분류 지도를 작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감정까지 꿰뚫어 보는 세상이 수학으로 성큼 다가오고 있다 ...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석고재킷은, 석고 붕대(깁스)처럼 화석을 석고로 감싼 것이다. 먼저 화석을 깨끗이 정리한 뒤 종이나 은박지로 감싼다. 이어 석고가 발라져 있는 붕대에 물을 부은 뒤 화석을 감아 굳힌다. 큰 화석은 직접 물에 석고가루를 넣어 갠 뒤 마로 만든 성긴 천에 적셔 화석에 감는다. 발굴팀이 석고 개는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1675년에 하펠이 만든 첫 해류 지도는 당시까지의 탐험 결과를 바탕으로 바다의 흐름을 정리하고 있다. 이 지도에 표현된 해류는 지금 보면 완전히 틀렸다. 표층수와 심층수의 구분도 없고, 전지구적인 순환도, 난류와 한류 개념도 없다. 하지만 바닷물이 지구 전체를 순환한다는 개념을 이렇게 ...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기본 단위는 0 또는 1, 둘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을 비트(bit)라고 부른다. 정리하면 컴퓨터는 입력 비트를 출력 비트로 바꾸는 계산기다. 본질적으로 컴퓨터에 대한 논의는 이걸로 다한 셈이다. 나머지는 세부사항이다. 물론 컴퓨터 게임을 만드는 것은 어마어마한 세부사항(?)을 필요로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참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쉼없이 계산을 이어갔다.그 결과 4색 문제는 ‘4색 정리’가 되었다. 하지만 수학계에서는 컴퓨터가 수학 명제를 증명한 최초의 일이었기 때문에 큰 논란거리가 됐다. 그래도 최근에는 ‘컴퓨터가 증명에 성공했다’는 사실만큼은 인정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컴퓨터의 ...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9호
- 1798년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가 쓴 라는 책을 읽고, 그의 연구를 좀 더 쉽게 정리하는 일을 하고 있었어요. 그러다 우연히 루빅스 큐브에 수를 하나씩 대응한 뒤, 세 가지 방법으로 루빅스 큐브를 잘라 그 수의 배열을 이용하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