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치
설비
기구
비품
지식
기능
소양
d라이브러리
"
장비
"(으)로 총 2,79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유즈호 컴퓨터 처리속도는 5Hz?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평가하지만 우주기술에서는 더 중요한 요소가 있다. 바로 신뢰성이다. 새로운 부품과
장비
의 성능이 우수하더라도 우주에서 우주인의 생명을 보호할 만큼 믿음을 주지 못한다면 우주선에 장착할 수 없다.소유즈 우주선의 부품은 다소 낡아 보이기도 하고 특별해 보이지도 않지만 오랜 세월을 거치며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많이 붙일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는 거죠. 화학반응 조절은 연료전지 같은 차세대 에너지
장비
의 핵심 과제이기 때문에 의미가 큽니다.”지난 2001년부터 기능성나노물질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유룡 교수는 나노미터 크기의 다공성 탄소물질을 연구하고 있는 국내의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우리가 황사를 느끼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우리나라와 중국 발원지에 황사 관측
장비
를 더 많이 세우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마련하고 있답니다. 탐험일지 3황사 바람에 살아남기변덕쟁이 황사를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쉽지 않죠? 그렇다고 점점 심해지는 황사를 그대로 내버려 둘 수는 없는 ... ...
떠다니는 탄소를 거래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地形) 등의 상호관계를 대조하지 않고 비행자세 · 비행지점 · 비행코스 등을 자체에
장비
된 계기에만 의존하여 비행하거나 착륙하는 방식 항공기 · 선박 등을 무선으로 유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신기 무선조종용 신호를 수신 · 검파하고 그것에 의해 필요한 계기를 작동시킨다 길이 ... ...
연료전지 비행기 이륙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경우도 있다잠수함 무기인 각종 어뢰, 미사일 등을 발사, 조종하기 위한 사격 통제
장비
들이 사용된다생식기관 중에서 정자나 난자를 만드는 기관 또는 조직 ... ...
수돗물의 투명한 표준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ADI는 0.02ppm으로 제시한다.안티몬처럼 새로운 항목을 수질기준에 추가하려면 실험
장비
와 공정시험법을 제시해야 한다. 현재 환경부에서 허가한 먹는 물 검사기관은 한국식품연구소, 한국화학시험연구원 등 30곳이 넘는다. 이 많은 기관에서 먹는 물을 검사해 그 결과를 제시할 때는 명확한 근거가 ... ...
만원지폐에 담긴 물리학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모양이 나타나게 하는‘앞뒤판맞춤’도 어려운 인쇄기술 중 하나로 꼽힌다. 고가의 인쇄
장비
로 앞면과 뒷면을 동시에 인쇄해야 앞뒤가 정확히 일치하는 그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앞면과 뒷면을 따로 인쇄하는 보통 인쇄기로는 앞뒤가 어긋나기 쉽다.이밖에 일반 복사기는 표현하기 어려운 ... ...
지구온난화가 전염병 부추긴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있으며, 부도체나 반도체의 경우에는 에너지 차이가 존재한다디지털 신호 기술을 사용한
장비
를 통해 전송하는 스위칭 기술이다 분할된 데이터들은 비동기적으로 처리된다 소프트웨어보다는 하드웨어로 더 쉽게 구현되도록 설계돼 처리 속도가 계속 빨라지고 있다 다른 기술과 함께 ATM은 광대역 ... ...
하늘에 이름 새기려는 욕망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관측대에 지원했고 4년 동안 관측대의 대장으로서 과학 임무를 수행했다.관측대의 관측
장비
라고는 대물렌즈의 지름이 10mm 남짓한 소형 굴절망원경뿐이었지만, 그는 쉼 없이 관측을 해 결국 1만개에 이르는 남천의 별과 수십 개의 성운, 성단을 정리해 ‘라카유 목록’을 남겼다.근대적인 천문학 ... ...
가슴 속에 부는 토네이도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됐다. 심실제세동기는 이 토네이도를 제거해 박동원이 심장을 다시 주관하도록 돕는
장비
다. 심장을 ‘재부팅’하는 셈이다.신경망동력학연구단을 이끄는 고려대 물리학과 이경진 교수는 이 토네이도의 발생과 확산 과정을 밝혀낸 인물이다. 이 교수는 지난 2004년 토네이도의 운동 패턴을 세계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