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늘로 떠난 수학 사냥꾼, 존 코웨이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정보망’의 일원으로도 열심히 활동했습니다. 이 모임은 가드너가 세상을 떠난 2010년 이후에는 이름을 ‘마틴 가드너를 위한 모임(G4G)’으로 바꾸고 2년에 한 번씩 모여 유희 수학에 대해 논하는데, 여기서도 콘웨이는 수학의 즐거움을 나누며 마지막까지 유희 수학자로서 활동했습니다. 2부 ...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안무와 얼마나 비슷한지 확인해보니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정확하게 알겠더라고요. 이후에도 저는 춤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Q 추가로 계획 중인 영상이 있나요?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기 위한 아이디어는 많습니다. 보컬의 음정 안정성을 분석하거나, 안무 난이도를 ... ...
- 절규하는 그녀, 심장마비로 사망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발굴한 미라는 곧바로 연구실로 옮겨 방사선 촬영을 하고, 이후 전통 의상학자가 직접 미라 수의를 수습한다. 이 과정은 모두 후손들이 참관하는 가운데 진행되고, 연구를 마친 미라는 다시 후손에게 인도된다. 미라 연구는 과거 이 땅에 살던 우리 조상들의 삶과 건강, 생활과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학생과 기업의 윈윈 취업 박람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저녁식사 기회를 얻었다. 나를 포함해 학부생 7명이 참가했는데, 이 자리에서 졸업 이후 진로와 창업에 대한 조언과 경험담을 들을 수 있었다. 3학년 때는 은퇴한 엔지니어 겸 경영자와 식사를 하기도 했다. 인터넷이 막 상용화되기 시작할 때 설립된 온라인 주식 거래사의 초창기 멤버였다. 그는 ... ...
- 꽃가루를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나가 식물의 꽃가루를 채집하고, 분류하는 것까지 가르쳐 주시던 게 인상적이었어요. 이후 한국에 돌아왔는데 지역별, 시간별 꽃가루 종류나 양에 대한 기초 자료가 없었어요. 그래서 한국에 와서도 혼자 계속 꽃가루를 채집했습니다. Q 그렇게 모은 자료는 어떻게 쓰였나요?2008년 기상청에서 제가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1분, 나로호는 두 번째 힘찬 비행을 시작했다. 발사 후 54초경 나로호는 음속을 돌파하고 이후 최대추력으로 수직상승했다. 당시 공군이 지원차 구름 속에서 번개를 만들어낼지 모르는 전기 입자들을 모니터링 중이었는데, 그들이 공중에서 촬영한 영상에는 빛나는 작은 점이 수직상승하는 모습이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건 같지만, 작품에 필요한 설치물을 만들 때는 건축가처럼 설계도를 그려야 하고, 이후에는 프로그래머처럼 알고리듬을 만들어야 하죠.2014년 올해의 예술가상을 받은 국내 뉴미디어아트 예술가인 양민하 작가는 설치물 제작부터 전기회로 설계, 알고리듬 코딩까지 작품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직접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피카드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미디어랩 교수가 논문을 통해 처음 발표했다. 이후 25년이 지났지만, 사람의 감정을 파악해 이해하고, 반응하는 감정 AI를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은 여전히 분분하다. 학자마다 주장하는 감정 AI의 조건은 다르지만, 피카드 교수는 아래의 조건을 제시했다 ...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재구성되며 서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관계라는 사실을 입증했다. doi: 10.1038/nature04283이후 학계에서는 뇌와 수면의 관계를 더욱 집중 조명하기 시작했다. 수면이 부족하면 기억력, 판단력 감퇴 등 뇌의 본 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순환계, 소화계, 면역계 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도 뇌에서 ... ...
- [나의 독일유학일기] 시험 기간이 방학 중에? 방학 같지 않은 방학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최대 정원에 맞춰 가능한 많은 학생을 뽑는다. 입학 기준 점수가 매우 낮은 이유다. 그 이후에 학과에서 요구하는 기준을 못 맞춘 학생들은 낙제시킨다. 그래서 시험을 보기 위해 공부할 양도 많고, 문제도 굉장히 어렵다. 독일의 대학은 시험을 한 학기에 한 번만 치르기 때문에 애초에 시험 범위도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