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음성 인식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기술의 발달로 음성 데이터를 빠르게 학습할 수 있게 되면서 음성 인식 기술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됐습니다. 음성 인식 기술은 현재 다양한 AI와 결합해 사용되고 있죠. 음성 인식 기술의 변천사를 알아볼까요? * 보충설명목소리의 기본 주파수 :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1초에 성대를 ... ...
- [매스미디어] 하나의 세계, 두개의 미래 시지프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구하는 공식에 이 시간을 넣으면 93.6m/s×32.06s=3000.82m로 태술의 형은 충돌 지점으로부터 약 3km 떨어진 지점에 떨어졌다고 추측할 수 있다. 실제 형이 떨어진 위치는 어딜까? 경도 127.16°, 위도 36.987° 지점을 구글 지도에서 검색하면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승두리 680-1번지가 나온다. 비행기는 ... ...
- [4컷만화] 뇌에 가장 큰 충격을 주는 행동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매우 심하게 변형됐지요. 뒤틀린 노른자가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도 약 1분으로 가장 오래 걸렸어요. 연구팀은 “사고 유형에 따라 뇌의 부상 정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우유와 레몬즙만 있으면 나도 백선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소, 염소, 물소, 양 등 동물의 젖, 즉 우유의 단백질을 응고*시켜서 만든 식품이에요. 약 8000년 전 가축을 사육하던 중앙아시아 유목민이 최초로 치즈를 만들었다고 전해져요. 우유 안에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이 있어요. 이 중 산성으로 응고되는 단백질을 ‘카제인’, 응고되지 않는 단백질을 ... ...
- [한페이지 뉴스] 해조류 먹은 소는 메탄 방귀 덜 뀐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플로스원’ 3월 1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371/journal.pone.0247820연구팀은 소에게 매일 약 46.7~99.4g의 바다고리풀(Asparagopsis taxiformis)을 첨가한 사료를 먹이며 21주간 체중과 메탄 배출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소의 체중은 정상적으로 증가했지만 메탄 배출량은 최대 86.8% 감소했 ...
- 변이 vs. 백신 재설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만큼 mRNA나 cDNA 등 핵산만 새로이 합성하면 백신 재설계가 가능하다.송대섭 고려대 약학과 교수는 “핵산을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자체를 다루지 않고 필요한 염기서열을 합성하는 만큼 빠르고 안전하게 재설계가 가능하다”며 “이미 변이 바이러스의 유전정보 분석이 끝나있는 만큼 이를 ...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습도 30%의 환경에서 애집개미의 페로몬 반감기는 플라스틱 위에서 약 9분, 종이 위에서 약 3분입니다. 표면 성질에 따라 증발 속도가 다른 것과 같이 여러 상황에 따라 개미는 다른 종류와 양의 페로몬을 뿌립니다. 금방 없어질 먹이에 대해서는 반감기가 짧거나 적은 양의 페로몬을, 나무 수액처럼 ... ...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바라본 독도의 시직경은 0.3° 정도가 나옵니다. 이때 지구에서 바라본 태양의 시직경은 약 0.5°이기 때문에, 해가 떠오르는 위치에 독도를 맞춘다면 해가 독도를 품은 일출 사진을 찍을 수 있을 거라 예상했습니다. 그리고 떠오를 때를 정확히 포착해 예상 그림과 같은 모습의 사진을 찍는 데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창작품,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누구 것인지 이야기 하려면 창작을 위해 무엇을 활용했는지 먼저 이해해야 해요. 만약 예술가(개발자)가 인공지능 학습 알고리즘과 학습 데이터 등을 모두 직접 수집, 변형한 경우엔 소유권을 인정받기 좀 더 유리하겠죠. 하지만 대부분은 인터넷에 공개된 데이터와 인공지능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할 ... ...
- [기획] 백신을 맞으면 마스크를 안 써도 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모른다1월 25일 정부는 11월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혔어요. 한 인구 집단에서 약 60%가 면역을 형성하면 전염병이 유행하지 않는다는 추정에 근거했지요. 이에 대해 한국백신학회 홍기종 편집위원장은 “설득력 있는 추정이지만, 코로나19의 집단면역이 형성되는 정확한 기준은 아무도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