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고"(으)로 총 4,0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서울시에 제안했다. 결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사고가 현저히 줄어들어 다른 교량에도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우리 사회의 공공재를 다루는 학문김 교수는 건설환경공학부의 가장 큰 매력이 이처럼 사회에 바로 기여할 수 있는 점이라고 말했다. 특히 ... ...
- 통계로 미래를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다시 말해 모두가 한 번쯤 겪을 법한 일로 미래를 예측한다. 예를 들면 내년에는 교통사고를 조심해야 한다고 예측하는 것이다. 바넘 효과는 19세기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을 알아내는 일을 하던 ‘바넘’에서 유래된 말이다.➏ 점화 효과(Priming Effect)먼저 얻은 정보가 나중에 얻은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수학 내용이 많이 등장한다. 세계 최초의 탐정 오귀스트 뒤팽을 등장시켜 수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사건을 해결하기도 하고, 수학자를 범인으로 등장시켜 자연스럽게 수학이야기를 풀어나가기도 한다. 때로는 암호를 등장시켜 수학의 재미를 느끼게 한다.예를 들면 에서는 주인공인 윌리엄 ...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의료진에게 알리기 위해 논문을 썼다. 1973년부터 1980년까지 방콕에서만 100건의 성기 절단 사고가 일어났다. 바람피운 남편에 대한 복수심에 불탄 아내가 잠잘 때 몰래 부엌칼로 남편의 성기를 잘라버리는 사건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는 믿기 힘든 설명이 논문에 들어있다.방콕 시리라즈 병원에서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과정의 일부로 여기느냐는 자신이 선택하는 거지요.”마지막으로 조 대표는 융합적인 사고를 주문했다. 전기자전거 회사를 운영하기까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학문은 수학과 과학, 영어였지만, 결국 좋은 제품을 만들어 팔기 위해서는 경영학, 소비자심리, 사회문화 등 다양한 지식이 있어야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약간은 철학자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것이 길고 늦고 오래 걸리는데 단기적인 사고방식으로는 자연과학에서 실패할 수밖에 없단다. “공학은 테크닉을 알면 되지만 자연과학은 테크닉보다는 주변을 보는 폭넓은 마음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박 센터장에게 인생의 최종 목표를 물었다.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나라다 보니 지리공부도 할 수 있었고, 넓은 세상을 보면서 편협하지 않고 스케일이 큰 사고방식을 기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아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과학자 되고 싶었다” 미국 굴지의 항공 기업 연구원 생활 접고 우리나라 항우연 선택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마치고 연구조교 생활까지 마친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막상 사회에 나와 맡겨진 업무를 처리할 때마다 사물을 관찰하고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습관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이렇게 밝힌 그는 “특히 요즘 사회가 ‘융합형 인재’를 원하는 시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학을 전공했다고 해서 인문학을 등한시하지 말고, 인문학을 전공한다고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필요한 창의적 사고는 ‘용기’에서 비롯된다는 말로 만남을 마무리했다. “창의적 사고를 한다는 것은 남들이 해보지 않은 것, 남들이 생각하지 않는 것을 해낸다는 말입니다. 남들이 안 해 본 것을 해보려면 첨벙 발을 담가봐야 합니다. 어떤 목표를 정하고 집중해서 몇 년, 길게는 몇 십 년을 ... ...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들으면서 준비를 꾸준히 했다. 실제 변리사 시험은 단순히 외워서 되는 것이 아니라 사고력이 풍부해야 한다. 그는 “고시학원에서 시험을 위해 공부한 것보다 법대 수업을 통해서 교수님들의 다양한 생각을 들을 수 있었던 것이 더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험 운이 좋아서인지 1차 시험은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