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물체의 표면 구조에 의해 나타나는 색깔입니다. 공작의 날개, 딱정벌레의 껍질에서 볼 수 있는 총천연색이 대표적입니다. 구조색은 빛의 간섭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화학적 원리가 아닌, 광학적 원리로 색을 내는 것이어서 화학 색소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구조색을 입힌 초콜릿을 ...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하지만 수소자동차는 더이상 미래 기술이 아니다. 최근 호주에서 발생한 거대한 산불을 볼 때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과학 기술이 발전했다고 해도, 대형 산불이 나면 지금은 속수무책으로 비가 오기만 기다릴 수밖에 없다. 윤 책임연구원은 “다소 엉뚱해 보이더라도 ‘날씨를 조절하는 과학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위치추적 컨트롤러는 쉽게 말해 가상현실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3차원 마우스’라고 볼 수 있다. 이 제품은 당시 가상현실 분야에 뛰어들던 많은 기업들의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지금처럼 높지 않아 시장을 개척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다. 꾸준히 기술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한 명씩 만나볼 예정입니다. 이번 주인공은 이지운 교수님이 출제하신 대한수학회 문제를 열심히 풀고, [매스펀]→[함께 풀고 싶은 문제]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는 ‘리프’ 친구입니다! Q 자기 소개 부탁해요! 안녕하세요, ... ...
- [천리안 2B호] 총괄 최재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3만6000km에서는 하루에 한 바퀴씩 지구 자전 속도와 같은 속도로 지구를 공전하며 지구를 볼 수 있다. 덕분에 언제든 한 지역만 바라본다. 현재 적도 상공 동경 128.2도에서 한반도를 바라보고 있는 정지궤도위성은 총 2기다. 2010년에 한국 최초로 발사된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 1호와 2018년 12월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AI 면접을 활용하는 기업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다. 그렇다면 AI 면접은 어떻게 하면 잘 볼 수 있을까? 기자는 면접이라는 말에 정장 재킷까지 챙겨갔지만 별 도움이 되지는 않았다. 생김새나 옷 등은 AI의 평가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추리닝을 입고 PC방에서 면접을 봐도 원칙적으로는 무방하다 ... ...
- [동아리탐방] 미적분 공부하며 함께 성장한다, 경기북과학고 Limes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만드는 활동도 추가했다. 이렇게 2019년에 만든 영상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 2학년 기장을 맡았던 이주연 학생은 “교재를 화면에 띄우고 설명하거나 PPT로 제작하는 등 조마다 각자의 방식으로 영상을 만들었다”며, “동아리원뿐 아니라 전국의 학생이 수학에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함께 좀 더 풍성한 배경 설정을 얻기도 한다. 어린 시절 에피소드 5 ‘제국의 역습’을 볼 때 인상적이었던 장면 중 하나는 한 솔로와 츄바카, 레아 공주가 우주선 ‘밀레니엄 팔콘’을 타고 제국으로부터 도망치다가 소행성의 한 동굴에 숨는 부분이다. 동굴 속에 착륙한 뒤 적이 사라질 때까지 ... ...
-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홍채처럼 보이는 동그란 지형이 담겨 있었지요. 이는 지름이 50km에 달해 우주에서만 볼 수 있는 ‘리차트 구조’로 사하라 사막 서부 모리타니아 지역에 있어요. 눈처럼 생겨 ‘지구의 눈’ 혹은 ‘사하라의 눈’이라고도 불린답니다. 리차트 구조는 1965년 미국의 제미니 4호 우주선이 지구를 돌 때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그 물체에 반사된 빛을 보는 것이기 때문에, 만약 빛이 휘어져 그 물체에 닿지 않으면 볼 수 없다. 여기에 더해 오히려 망토 너머에 놓인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휘어져 관찰자에게 도달하면 망토 안 물체는 보이지 않고 망토 뒤의 배경만 보이게 돼 투명망토가 완성된다. 빛을 휘게 만드는 것, 즉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