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순풍
욕구
소원
바람구멍
구멍
구녕
d라이브러리
"
바람
"(으)로 총 3,467건 검색되었습니다.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쏘아 올린 화살은 다양한 포물선의 장관을 이루며 연합군을 공격한다. 적의 위치와
바람
의 방향을 고려해 발사대의 각도를 조절하며 결국 연합군을 퇴각시킨다. 물론 영화에서는 조금 과장된 부분이 있지만 대신기전에서 발사된 포탄들은 거대한 포물선을 그리며 적진을 향해 날아가 적을 ... ...
종교에서 과학으로 Ⅱ 그림 속 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바탕으로 그림 속에 수많은 수수께끼를 담았어요.에도 서풍의 신이자
바람
둥이인 제피로스가 아내인 꽃의 여신 플로라를 안고 찔레꽃을 흩날리고 있어요. 오른쪽에 계절의 여신인 호라는 영광을 상징하는 월계수 나무 앞에서 수레국화 문양의 드레스를 입고, 장미꽃으로 만든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어느 부분이든 모든 부분에는 중력이 작용한다. 머리카락도 질량이 있기 때문에
바람
에 흩날려도 중력을 받아 아래로 떨어진다. 이 때 머리카락은 한올 한올 제각기 다르게 움직인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에서도 머리카락에 걸리는 힘을 세세하게 설정해 최대한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만든다. 그렇지 ... ...
진실 하나! 복권의 조상은 도박이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저는 1501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지롤라모 카르다노입니다. 요즘 식었던 복권
바람
이 다시 불더군요. 그놈의 복권이 뭐길래. 사람들이 복권을 많이 하다가 중독될까 걱정됩니다. 저도 예전에 도박을 하다가 중독이 의심될 만큼 빠져 산 적이 있어서 그 위험을 잘 알거든요.어쨌든 사람들은 복권이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가장 많이 고려하는 진동은 지진이나
바람
이 일으키는 진동이다. 지진이 일어나거나 센
바람
이 불어서 건물이 흔들릴 때를 예상하고 그 진동수에 무너지지 않게 설계한다. 동조질량감쇠기와 같은 장치를 건물에 설치해 건물이 흔들릴 때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해 주면 진동의 폭을 줄일 수 있다.그 ... ...
한강 해양 레포츠 체험교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강사는 “평소 접하기 어려운 해양 레포츠를 할 수 있어 참가자들이 즐거워한다”며 “
바람
의 원리를 이용한 딩기요트를 통해 과학적 사고와 균형 감각을 길러주고, 카약은 팀워크를 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속도가 빨라 스릴도 즐길 수 있다”고 말했다.한국해양소년단연맹은 안전을 위해 119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저도 병 때문에 심하게 고생한 적이 있어요. 1840년대 아일랜드에서 돌림병이 크게 번지는
바람
에 우리를 주식으로 삼던 사람들이 다 굶어 죽을 뻔했대요. 사람들은 이때를 ‘아일랜드 대기근’이라고 부르죠. 이들이 먹을 것을 찾아서 고향을 떠나 정착한 곳이 바로 미국이래요. 제가 오늘날의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 있다. 따라서 운전대를 잡고 있는 손 위치 바로 앞에 에어컨 송풍구를 배치하는 것은
바람
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손발의 혈액순환이 원활치 않은 노인들의 경우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신체 부위 중에서 진동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낮은 부분은 발이다. 착석한 상태에서 전신진동과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배경은 각각의 물체(오브젝트)로 구성된다. 여기에 질량, 속도, 탄성을 입력해 두면
바람
에 날리거나 물체끼리 충돌할 때의 움직임이 자연스레 영상으로 만들어진다. 만약 ‘쿵푸팬더’의 주인공 포가 퉁퉁한 몸집으로 날렵하게 싸운다면 질량은 낮추고 속도와 탄성을 높이는 작업만으로도 포와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연구소 주변에서 암끝검은표범나비 애벌레 1개체를 채집했다. 애벌레를 채집한 것은
바람
에 몸을 맡겨 이동하는 어른벌레를 확인한 것과는 의미가 다르다. 번식을 위한 진출로 추정할수 있으며 이미 4∼5월 중에 암끝검은표범나비 암컷이 북상 후 알을 낳았다는 증거이다. 암끝검은표범나비가 기후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