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나란히 있었다. 어떤 시기에 두개의
막
이 특정 거리에 있을 때 세번째
막
이 하나의
막
에서 분리되고 다른
막
(우리우주)으로 떨어진다. 중간에 공간의 양자요동으로 잔물결이 일어나고 잔물결은 충돌 순간 우리우주에 은하의 씨앗이 된다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지 못한다. 따라서 매년 출현하는 신종 독감 바이러스의
막
단백질로 제조된 백신을 맞아야만 예방이 가능하다.최근에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가 개발돼 1999년도에 FDA 승인을 받아 시판중이다. 이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항바이러스제가 ...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hepth.hanyang.ac.kr)다. 신교수는 우리우주에서 발생하는 급팽창현상을 나란한 다른 우주의
막
과 충돌하는 과정으로 설명하는 이론을 2000년 7월 캐나다 벤쿠버에서 발표했다. 이 강연을 듣던 슈타인하르트는 ‘재미있는 아이디어’라며 관심을 보였고, 2001년 3월 ‘에크파이로틱 우주’라는 ... ...
빅뱅과 인플레이션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것이다. 공간도 빅뱅과 함께 탄생했기 때문이다. 물론 최근 전체우주 안에서 우리우주를
막
으로 보는 이론에서는 다른 공간을 생각할 수 있고 빅뱅 이전을 설명하려는 노력도 있다. 빅뱅은 또다른 형태의 상태변화가 아닐까.빅뱅의 해결사 인플레이션빅뱅우주론은 우주가 팽창하고, 초기에 만들어진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지금의 무령왕릉 내부 모습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6세기 당시
막
무령왕릉 입구를
막
은 직후의 모습까지 그대로 복원한 것이다.벌써 30년이 지났건만 백제 역사 연구의 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성 때문에 단순한 무령왕릉 연구가 아닌 ‘무령왕릉학’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연구 범위가 ... ...
차가운 과일이 더 달콤한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말했다.좀더 달콤한 과일 샐러드의 맛을 즐기고 싶다면 10℃ 전후 온도의 냉장 칸에서
막
꺼낸 과일을 이용하자. 베타형 이성질체를 가진 과즙이 입속을 가득 채우며 달콤함을 갈구하는 미각의 불타는 욕망을 충족시켜줄 것이다 ... ...
게임돌풍, 인터페이스의 미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재미를 느낄 수 없었고, 결국 닌텐도64는 PC판에 비해 실험적이고 흥행저조의 게임으로
막
을 내리고 말았다. 이 외에도 국내에서 히트한 레인보우 식스의 드림캐스트 버전 역시 키보드를 이용한 다양한 명령을 몇개의 버튼으로 내려야 했는데 대부분의 사람은 적응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이식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하나인 생체 내에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실험이 성공했다는 것이다.이제
막
첫단추을 끼운 셈이다. 하지만 아직은 가야할 길이 험난하고도 멀다. 마이크로 캡슐형 내시경의 구동메커니즘을 담당하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김병규 박사에 따르면 내시경의 크기가 지금의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위성으로 현재도 정상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별 프로그램은 우리별 3호를 끝으로
막
을 내렸으며 과학위성 프로그램이 그 뒤를 이었다.과학위성 1호는 1998년 가을 1백17억원의 총 예산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크기는 우리별 3호와 비슷한 60×66×80cm이고 무게는 1백20kg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 ...
쫄깃쫄깃한 면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들어가는데, 삶아지면서 면의 표면으로부터 중심부분으로 물이 서서히 스며든다. 따라서
막
삶아놓은 면은 표면과 내부의 수분 함량이 확실하게 차이가 난다. 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면의 표면은 80-90%, 내부는 50-70%의 수분 함량을 지닌다. 요리책을 살펴보면 스파게티를 삶을 땐 면을 잘라봐서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