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옹이
혹
관절
뼈마디
골관절
매듭
귀절
d라이브러리
"
마디
"(으)로 총 1,653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곤충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인체내부에서 수술을 할 수 있는 초소형로봇도 상상하고 있다.여기서 개인적인 이야기 한
마디
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나는 51년간 로봇에 대한 공상과학소설을 써 왔고 따라서 그 어느 과학자라도 내가 그동안 한두번 상상해 보지않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나는 지난 197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해주었다. DNA재조합기술이란 한
마디
로 유전자의 클로닝(cloning)과 염기서열결정에 관한 기술이다. 여기서 클로닝이란 유전정보를 간직하고 있는 특정한 DNA분자를 증폭시켜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을 뜻한다. 염색체에 존재하는 DNA는 길이가 매우 길기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빛은 배의 끝 쪽에 있는 발광기에서 나오는데 수놈은 두번째 둥근
마디
에, 암놈은 첫번째
마디
에 있다.4. ② 꿀이 집에서 대략 90m 이내에 있으면 꿀벌은 원을 시계바늘 방향이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그린다. 이것이 원형춤인데 이 춤은 태양을 지침으로 삼지 않고 방향도 나타내지 않는다. 춤이 ... ...
거북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못했던 것으로 동물학자들은 보고 있다.거북이 다른 파충류와 크게 다른 특징은 한
마디
로 말해 목과 사지 심지어는 꼬리까지 갑안에 감춘다는 점이다. 몸을 감추는 방법도 꽤 다양하다. 예컨대 머리와 목을 배와 복갑사이로 살짝 붙이는 놈도 있고 갑사이로 반듯하게 집어 넣는 놈도 있다.거북이 ... ...
퀘이사라는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물리학자에게 있어서 쿼이사는 실로 경이적(驚異的)인 천체였다.퀘이사의 수수께끼는 한
마디
로 은하의 1백배가 넘는 에너지를 그 1만분의 1이하의 작은 천체에서 어떻게 생산할 수 있는가에 있다.오늘날 퀘이사의 정체로 제안된 여러 모델 중 가장 유력한 것은 거대한 검은 구멍(black hole)으로 보는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당시 나는 인쇄기술이나 고서(古書)에 대해서 별로 아는 것이 없던 터였으나 그 책들은 한
마디
로 너무 이름다운 책이었다. 정말 충격적이었다. 세상에 이렇게 멋있고 훌륭하게 인쇄된 책이 15세기 전반기에 존재할 수 있었을까.역사에서 배우고 입으로 논하고 머리로 생각만을 해오던 우리에게, 특히 ... ...
가정자동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프로그램을 예약할 수 있는 VTR이나 리모콘TV 자동조절에어콘 등이 이 단계에 속한다. 한
마디
로 가전기기들이 개별적으로 발전하는 단계다.제2기는 복합형으로 퍼스컴과 TV의 연계사용, 다기능전화기, 입체형TV, TV+VTR, 오디오+전화기 등 복합기능을 가진 가전기기가 등장한다.제3기는 서브시스템형으로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갖고 있습니다. 우리도 이러한 부분이 허약하다고 지적할 수 있습니다.현-한
마디
로 허점투성이군요. 그렇지만 최근 첨단과학기술의 중요성이 전사회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가 중요하다는 느낌이 듭니다.마지막으로 국제환경의 변화와 함께 남북한 과학기술교류의 가능성도 높아질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부가가치통신망(VAN) 이동통신 위성통신 사설네트워크 등 첨단통신분야에 집중돼 있다. 한
마디
로 중추신경조직을 장악하겠다는 얘기다. 정보사회에서 통신주권을 지키는 것은 곧 국민의 생존권을 지키는 일과 직결돼 있다.도청 인간성을 파괴하는 첨단공해전화는 컴퓨터와 더불어 정보사회에서 ... ...
적어도 두가지 검사는 해봐야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혈액형의 유전성에 기인한 것이다.그러면 혈액형검사는 어떻게 하는가. 혈액형검사는 한
마디
로 적혈구에 그 혈액형의 항원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항체를 미지의 적혈구에 가해 보아 응집이 나타나는지를 살펴 보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의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