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옹이
혹
관절
뼈마디
골관절
매듭
귀절
d라이브러리
"
마디
"(으)로 총 1,653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곤충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인체내부에서 수술을 할 수 있는 초소형로봇도 상상하고 있다.여기서 개인적인 이야기 한
마디
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나는 51년간 로봇에 대한 공상과학소설을 써 왔고 따라서 그 어느 과학자라도 내가 그동안 한두번 상상해 보지않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나는 지난 197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커녕 우리 인간의 악랄한 지적 호기심의 단면을 드러냈다는 혹독한 비난을 받았다. 한
마디
로 인간의 존엄성에 모멸감을 안겨주는 참담한 실험이었다. 모든 생명과학 기술은 양면의 칼과 같아서 쓰기에 따라서 사뭇 다른 효과를 유발한다.수년전 프랑스의 바댕테(Badinter)여사가 '양쪽 모두'(L'un et L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빛은 배의 끝 쪽에 있는 발광기에서 나오는데 수놈은 두번째 둥근
마디
에, 암놈은 첫번째
마디
에 있다.4. ② 꿀이 집에서 대략 90m 이내에 있으면 꿀벌은 원을 시계바늘 방향이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그린다. 이것이 원형춤인데 이 춤은 태양을 지침으로 삼지 않고 방향도 나타내지 않는다. 춤이 ... ...
거북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못했던 것으로 동물학자들은 보고 있다.거북이 다른 파충류와 크게 다른 특징은 한
마디
로 말해 목과 사지 심지어는 꼬리까지 갑안에 감춘다는 점이다. 몸을 감추는 방법도 꽤 다양하다. 예컨대 머리와 목을 배와 복갑사이로 살짝 붙이는 놈도 있고 갑사이로 반듯하게 집어 넣는 놈도 있다.거북이 ... ...
퀘이사라는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물리학자에게 있어서 쿼이사는 실로 경이적(驚異的)인 천체였다.퀘이사의 수수께끼는 한
마디
로 은하의 1백배가 넘는 에너지를 그 1만분의 1이하의 작은 천체에서 어떻게 생산할 수 있는가에 있다.오늘날 퀘이사의 정체로 제안된 여러 모델 중 가장 유력한 것은 거대한 검은 구멍(black hole)으로 보는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당시 나는 인쇄기술이나 고서(古書)에 대해서 별로 아는 것이 없던 터였으나 그 책들은 한
마디
로 너무 이름다운 책이었다. 정말 충격적이었다. 세상에 이렇게 멋있고 훌륭하게 인쇄된 책이 15세기 전반기에 존재할 수 있었을까.역사에서 배우고 입으로 논하고 머리로 생각만을 해오던 우리에게, 특히 ... ...
가정자동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프로그램을 예약할 수 있는 VTR이나 리모콘TV 자동조절에어콘 등이 이 단계에 속한다. 한
마디
로 가전기기들이 개별적으로 발전하는 단계다.제2기는 복합형으로 퍼스컴과 TV의 연계사용, 다기능전화기, 입체형TV, TV+VTR, 오디오+전화기 등 복합기능을 가진 가전기기가 등장한다.제3기는 서브시스템형으로 ... ...
비디오·오디오·TV를 통합한 멀티미디어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사용하는 모든 시청각 정보를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람과도 자유로이 표현하려면 수백
마디
의 말로도 정확히 전달하기가 어렵다. 그림이나 이미지가 정보전달에 있어서 가지는 막강한 힘을 부정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속담도 있지 않은가. 멀티미디어는 이러한 ... ...
수컷은 훨훨, 암컷은 자루 속에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번데기로 되기 전의 탈피가 전행된다. 유충에서 탈피된 번데기는 굵은 몸통에 몸
마디
가 눈에 띄기는하나, 머리 가슴 배의 경계가 불확실하다. 촉각 겹눈 날개 다리 등 성충의 준비단계로 볼 수 있는 기관들의 형성도 눈에 보이지 않는다.번데기는 약 1개월이 소요되는데 5월 하순에서 6월 상순에 ... ...
적어도 두가지 검사는 해봐야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혈액형의 유전성에 기인한 것이다.그러면 혈액형검사는 어떻게 하는가. 혈액형검사는 한
마디
로 적혈구에 그 혈액형의 항원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항체를 미지의 적혈구에 가해 보아 응집이 나타나는지를 살펴 보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의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