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학교"(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들어 연거푸 반장을 맡게 된 정 원장은 자신에게 숨겨져 있던 리더십을 발견했다. “고등학교 때인가 우리 반에 가곡 하나를 외우게 시켰어요. 왜 그랬는지 몰라요. 가끔 원망도 들었는데 나중에 같이 부르니까 참 멋있더라고요. 지금도 그때 노래를 외우던 저를 바라보던 선생님의 눈이 기억나요.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냥 공부 잘하는 평범한 학생이었다. 당시의 장래 희망도 위성 개발과 거리가 멀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우연히 TV를 통해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로널드 레이건이 한국을 방문했다가 심장병 어린이 2명을 데리고 돌아가는 장면을 봤는데, 그때 ‘의대를 가서 심장전문의가 돼야겠다’고 결심했다.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사회문화 등 다양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조 대표는 “학교 공부에만 매진했던 중고등학교 시절과 달리 대학교에 오고서부터는 학문에 경계를 두지 않고 여러 경험을 했다”며 “그게 바로 벤처 기업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미술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하는 건축가가 있다. 미국 하버드대 디자인스쿨을 졸업한 재능 있는 디자인 전문가지만, 분야가 전혀 다른 순수미술 분야에 작품을 내기란 쉽지 않다. 건축가는 더더욱 희귀하다. 이 건축가는 지난 2012년에는 구 서울역 건물을 개조한 '문화역 서울 284'에서 전시를 했다. ... ...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10월 4일, 전남 고흥에서 ‘제1회 인간동력항공기경진대회’가 열렸다.대학 8개 팀과 고등학교 2개 팀, 그리고 항우연 시범기 1개 팀 등 11개 팀이 지난 1년간 공들여 만든 인간동력항공기를 선보였다.하루 동안 ‘인간 엔진’이 된 조종사들은 이를 악물고 페달을 밟았다. 새벽 미명에 날개를 편 학생들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여행을 많이 했습니다. 반장도 많이 했고 모범생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런 고등학교 시절엔 공부에 대해서 고민하던 시기였습니다. 생각했던 만큼 결과가 잘 나오지 않았던 것이죠. 더 잘해야 한다는 압박이나 좌절이 없지 않았습니다. 과학고 특성상 일단 잘하는 아이들을 모아놓는 건 좋다고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어려서 부친을 보면서 영향을 받았던 것이다. 그의 부친은 당시로는 고학력자인 고등학교 졸업 학력을 갖고 있었는데, 부모 봉양 때문에 군소리 없이 시골로 내려와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새마을지도자로서 항상 성실함과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면서 사는 모습은 소년 현택환에게 많은 영향을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받고 다녔다. 그는 인터뷰에서 ‘대학생활이 그렇게 재미있을 수가 없었다’고 했다. 고등학교 때 그렇게 궁금했지만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던 내용들, 고등 수학이나 운동역학, 물리학 법칙 같은 것을 대학에서 다 알려줬기 때문이란다. 결국 하던 공부를 계속하고 싶어 같은 대학에서 석사과정까지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니까요. 그런데 왜 자꾸 놀라고 하냐고요? 어린 시절 추억 때문일까요? 사립초등학교를 나왔는데 어머니가 방학만 되면 시골에 내려보내 숙제도 못 하게 했어요. 말 그대로 펑펑 놀게 했죠.” 또 하나의 이유는 거창하게도 국가관이었다. 박 센터장은 자신에게 한때 비뚤어진 국가관이 있었다고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번에 노벨 생리의학상이 발표된 뒤, ‘네이처’가 가장 먼저 인터뷰한 사람은 빌 위크너라는 과학자였다. 미국 다트머스대에 있는 필자의 지도교수인데 세 명과 두루두루 친분이 많았다. 덕분에 필자도 수상자들을 직접 만나거나 이야기를 자주 들었다. 그러나 보니 사생활도 조금 들었는데 공교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