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장
출현
도래
통관
입항
참가
가입
d라이브러리
"
등장
"(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센서를 달아 방사능을 측정하는 배지를 만들었고, 손뼉을 쳐서 음악을 트는 배지도
등장
했다. 밤을 새워 만든 이 해커톤 작품은 둘째 날 폐회식 직전에 모든 참가자들 앞에서 공개됐고, 그 자리에서 바로 심사가 이뤄졌다. 영예의 1등은 알코올 측정기를 연결한 음주측정 배지가 차지했다. 1등 ...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확률을 묻는 문제를 ‘두딸 문제’라고 한다. 단순한 문제처럼 보이지만 이 문제가 처음
등장
한 1959년 이래로 두 가지 답이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수학 문제에 어떻게 답이 두 개일 수 있을까.얼굴 안다고 확률이 바뀌어?여기까지만 보면 두 질문에 대한 답에 특별한 문제는 없는 것 같다. 독자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각운동량의 양자수는 무한대로 커질 수 있거든요. 그런데 여기서 첫 번째 난관이
등장
합니다. 힐베르트 호텔을 그대로 구현하려면 방이 무한히 많을 뿐만 아니라 방안에도 무한히 많은 손님이 묵고 있어야 합니다. 양자화된 각운동량이 이 조건을 만족하려면 무한한 에너지를 가진 광자로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알고 있었던 것. 그리고 말싸움 도중 뼛속까지 공대생인 한주연의 머릿속 알고리즘이
등장
한다. 여기서 핵심은 디버깅!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오류를 찾는 작업이다. 이 컷에 코딩의 늪에서 허우적대는 수많은 공대생이 한주연의 알고리즘을 컴퓨터 언어로 바꿔 댓글을 달아놨으니 궁금하면 이 컷에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나누던 중 예고 없이 나타난 수위 아저씨도 충분히 공포스러웠지만, 압권은 마지막에
등장
한 자살 귀신이었다. 그 귀신이 기자에게 손을 내밀며 다가오는 순간 그 귀신으로부터 멀어지려다 게임기를 떨어뜨릴 뻔 했다.게임을 마친 기자가 “귀신이 꽤 가까이 왔는데도 어색함이 별로 없었다”고 ... ...
[News & Issue] 네안데르탈인, 너 식인종이었어?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구워먹고자 불을 지피는 장면은 영화나 만화 프로그램에서 개그(혹은 공포) 소재로 자주
등장
한다(얼마나 차별적인 시선인지!).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식인종하지만 한 번만 생각해 보면 이 생각이 전혀 현실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먼저 동족을 서로 잡아먹는 동물은 자연에 거의 없다.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참고할 사례가 보였다.미국과 유럽에서 유행 중인 ‘DIY BIO 운동’은 1990년대 후반에 처음
등장
했다. 사용자가 직접 조립한다는 뜻의 DIY(Do It Yourself)와 BIO의 합성어인 DIY BIO는 일반인들이 직접 생명과학 실험을 해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마추어를 위한 실험실이라니, 뭔가 싸고 간단할거란 ... ...
Intro. 더위 날리는 '움직이는 색' 파랑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동굴벽화에도 파란색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고대 문헌에도 ‘파랑’이라는 단어가 거의
등장
하지 않는다!지금은 누구에게나 시원하고 깨끗함을 느끼게 하는 파랑! 이 신비롭고 오묘한 색깔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 그리고 사람들은 언제부터 파랑을 좋아하게 됐을까?논문 : ‘Color naming universals: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뒤섞일 수 없는 강을 건넌 것이다.그런데 종종 두 가지 사이를 잇는 화해의 다리가
등장
하곤 한다. 유전자 교류가 일어날 수 없는 두 종이 가지 중간의 다리를 타고 서로의 유전자를 주고받는 수평 전달이다. 김희발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교수는 “원핵생물에서는 아주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라며 ... ...
[Editor’s note] 같이 해요!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냅니다. 수천 명이 참여하는 과학 연구 프로젝트도 드문 일이 아닙니다.생생한 캐릭터가
등장
하는 영화나 애니메이션도 한두 사람이 만드는 게 아닙니다. 영화가 끝난 뒤에 올라가는 엔딩 크레딧을 보세요. 수많은 사람이 협력해서 영화 한 편을 만듭니다.그렇게 보면 학생들이 서로 협력해서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