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부분"(으)로 총 8,4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농게의 정체가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아주 유용한 집게라고~! 수컷은 집게가 짝짝이?!자연계에선 대칭이 대세예요. 생물 대부분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같은 모습이지요. 그런데 갑각류 중 하나로 전세계 100여 종이 살고 있는 농게는 예외예요. 수컷의 한쪽 집게가 다른 쪽보다 4~5배 정도 크지요. 암컷은 좌우 같은 크기의 집게를 ... ...
- [실전! 반려동물] 반려견 여행 과 함께 을 떠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시작되면서 반려견과 함께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요. 반려견은 여행 중 대부분의 시간을 이동장 안에서 보내기 때문에 여행 전 미리 이동장에 익숙해지는 훈련을 하는 것이 좋아요. 먼저 이동장 안에 반려견이 좋아하는 담요나 방석을 깐 뒤, 평소 반려견이 쉬던 곳 근처에 이동장을 ... ...
- [시사과학 뉴스] 선크림 어떻게 자외선 차단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못하기 때문이지요. 반면 자외선 B는 5~10% 정도가 오존층을 통과하고, 자외선 A는 대부분 오존층을 통과해 피부를 손상 시킨답니다. 자외선A는 진피에 있는 멜라닌 색소를 자극해 기미를 만드는 등 피부 노화를 일으키는 주범이 되고, 자외선B는 피부 화상의 원인이 되지요. 따라서 자외선이 피부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이루어졌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도마뱀의 피가 녹색인 이유 인간을 포함해 대부분의 동물은 상처가 나면 빨간 피가 나와요. 그런데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자 오스트레일리아 북쪽에 있는 뉴기니 섬에는 라임 빛깔의 녹색 피가 흐르는 도마뱀이 여러 종 살아요. 이들 도마뱀의 피가 ... ...
- Part 3. 흰발 농게, 새집으로 이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흰발농게와 같은 해양보호종은 대부분 썰물 때만 땅이 드러나는 갯벌 조간대 위쪽에 살고 있어요. 이 지역은 사람들의 출입이 잦으며 개발 압력이 높은 곳이지요. 사람이 오고 가거나 콘크리트 같은 구조물이 생기면 이들의 보금자리는 금세 유실돼 ... ...
- Part 2. 침대의 라돈이 더 위험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라돈-222(3.8일)에 비해 반감기가 짧은 라돈-220(55.6초)은 호흡으로 몸에 들어오기 전에 대부분 붕괴돼 사라지므로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흔하지 않아요. 하지만 침대는 달라요. 침대에 누워 코를 대고 자기 때문에 라돈-220이 사라지기 전에 몸에 들어올 수 있지요. 진영우 원자력의학원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용이하다. 액체로켓은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렵지만 현재 우주 선진국들은 대부분 액체로켓을 쓰고 있다. 2013년 발사에 성공한 ‘나로호’ 1단에도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이 쓰였다. 2021년 발사 예정인 ‘누리호’는 1, 2, 3단이 모두 국산 액체연료엔진으로 설계됐다. 하이브리드 로켓은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사람처럼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많이 갖고 있는 편입니다. 하지만 물고기라면 어떨까요? 대부분의 개체가 거의 똑같이 생긴 물고기에도 얼굴 인식 기술이 통할까요? 노르웨이 양식 기업인 세르막은 3D(3차원) 스캐너 개발 기업인 바이오소트와 함께 양식장에 있는 연어의 얼굴을 구별하는 ‘아이팜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기록했다. 남극은 대륙으로 이뤄져 있는데다 얼음으로 뒤덮여 있기 때문에 태양열을 대부분 반사시킨다. 평균 해발고도도 2900m로 세계에서 가장 높아 땅에서 반사된 태양에너지가 도달하지 못한다. 반면 바다가 많은 북극은 상대적으로 태양열을 오래 저장할 수 있다. 그래서 남극의 연평균 기온은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화학공학, 공업화학, 생물공학의 세 학문을 합친 학부입니다. 대부분 물리학을 가장 많이 배우고 활용하는 공대 내에서 화학생물공학부는 유일하게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식을 전부 활용하는 전공입니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학부장을 맡고 있는 김재정 교수는 화학생물공학부에 대해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