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의 생태사진가 '왕창 찍땅'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그랬다. 전시장에 있는 사진은 점점 희미하게 사라지고 있었지만 아직은 조금씩
남아
있었다.“그럼 원본 사진들과 비교해서 어떤 사진인지 확인해 보자!”사진가 왕창 찍땅은 원본 사진이 담긴 사진첩을 가지고 왔다.“여기에 있는 사진 중에서 잘 나온 작품을 골라서 전시했어요.”문제 1어떤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장기프로젝트까지 총 40여개의 프로젝트를 담았다. 성곽을 복원하고 사대문 곳곳에
남아
있는 한옥골목을 보존하는 등 서울 곳곳에 드러나 있지 않은 자연과 역사문화유산의 의미를 찾는 계획이다.“원래 계획과 조금 다른 방향으로 진행됐지만 서울시에 도시 디자인 전담부서가 생기는 등 도시를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어디에 있는 걸까. 오늘날에는 정신이 뇌의 활동으로 생긴다고 여기지만, 여전히 의문은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뇌처럼 작동하는 인공 뇌를 만들면 거기에도 자연스럽게 정신이 생길 것인가. 아니면 여전히 정신 없는 기계에 머물고 말 것인가.과학자와 철학자들은 예전부터 정신과 몸의 ... ...
육지보다 귀한 바다 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차이가 없었다. 바다가 넓다고 꼭 생물 번성에 유리하지는 않다는 뜻이다.연구팀은 현재
남아
있는 바다 종들은 모두 육상 종에서 왔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바다 생물 종의 대규모 멸종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베가 교수는 “바다 생물의 다양성 문제를 알기 위해 대규모 조사를 한 것은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않은 것은 대단히 흥미로운 일이었다. 또 태양으로부터 열을 받은 뒤에도 혜성에 얼음이
남아
있다는 사실에도 눈길이 갔다. 필자와 같은 태양계 연구자들은 혜성 탐사를 통해 표면의 모습을 상세히 관찰하고 특성을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SDO가 관측한 이번 결과는 새로운 ... ...
별이 반짝, 만화도 반짝 박석재 연구위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삼국 시대 이전에도 ‘배달국’이라는 나라가 있었다고 해요.그 당시에 천문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니까요. 그런 사실을 바탕으로 소설을 썼답니다. 어려운 한자를 쓰지 않아 쉽게 읽을 수 있어요. 만화,재미와 지식을 한번에 잡자!우리나라 역사를 생각하는 블랙홀 박사님은 정말 멋져요. 블랙홀 ... ...
마야인도 담배 피웠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용도로 쓰였을 가능성도 있다.연구팀은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품인 마야 토기의 안쪽에
남아
있는 흔적을 채취해 분석했다. 음식의 흔적이 오염되지 않도록 사용한 도구는 미리 알코올로 소독한 뒤 깨끗이 닦았다. 그 결과 ‘담배’라고 쓰인 토기에서 니코틴을 발견했다. 서기 700년경 멕시코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때문에 논과 분리 됐다는 뜻이다. 그래서 일부러 물을 대지 않으면 논은 마른 상태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다.겨울철 논에서 물을 빼는 게 과연 정답일까. 논은 작물을 생산하는 곳이지만 생태학적으로는 엄연히 습지다. 다른 곳에서 키운 모를 옮겨 심는 5월부터 수확을 2주 앞둔 초가을까지 여름 내내 ... ...
내 마음 나도 몰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때는 상대 쪽에서 퇴짜를 놓기 일쑤였습니다.사실 소년만의 일은 아니었습니다. 솔로로
남아
있는 친구들 역시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고 있었거든요. 그들은 함께 한탄하곤 했습니다. 머리를 모아 문제가 뭔지 고민했지만, 고만 고만한 수준의 머리가 모여서 나올 결론이야 뻔했습니다. 남자는 능력, ... ...
원시인은 식인종?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행위입니다. 증오의 상대를 ‘먹어 없애 버리는’ 행위인데, 역시 역사적인 기록으로만
남아
있을 뿐, 근현대에 직접보고 기록한 예는 없습니다.인간이 다른 인간을 먹는 행위는 식생활의 일환이 아닙니다. 어떤 집단도 식생활의 한 방편으로 인육을 섭취한 예는 없습니다. 의례적 상징 행위이고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