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화학약품 안 넣고 가습기 물 소독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자외선과 전기만으로 물속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완벽히 살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 ‘응용 촉매 B: 환경’ 7월 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이 살균시스템의 핵심은 촉매의 전기전도도를 높인 것이다. 연구팀은 티타늄 산화물인 티타니아(TiO₂)를 촉매로 썼는데, 그간 티타니아 ...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돛단배 개발을 실제로 진행한 건 1980년 칼 세이건 등이 주도해 설립한 미국의 비영리
국제
민간우주기구인 행성협회(The Planetary Society)였다. 행성협회는 1999년부터 러시아와 공동으로 우주 돛단배 개발을 진행했다. 행성협회는 2005년 처음으로 우주 돛단배 ‘코스모스 1호’를 발사했지만, 코스모스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동시에 과거 한반도의 화성 활동도 분석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지구과학분야
국제
학술지 ‘리쏘스(Lithos)’에 실렸습니다. doi:10.1016/j.lithos.2016.06.027연구팀은 이차이온질량분석법(SHRIMP)과 열이온화질량분석법 등을 이용해 지역별로 분포하는 심성암 시료 21개를 분석했고, 그 결과 총 4개의 심성암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범죄 현장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 찾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난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체물리’ 8월 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 ...
[인터뷰] 수학 국가대표 4인방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안 된다고 생각해서 일부러 밝은 표정을 지었어요.김홍녕 저는 이번 IMO 전에 두 번의
국제
대회에 참가했었는데요, 그때 모두 첫날 제가 친구들에게 몇 문제를 풀었는지 공개하자고 해서 친구들의 둘째 날 시험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이번 IMO에서는 그런 얘기를 하지 않고 표정 ... ...
[과학뉴스] 외계 전파 위치, ‘원샷 원킬’로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특히 단 한 차례 신호만으로 위치 확인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8월 9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doi: 10.1126/science.aaw590 ... ...
[과학뉴스] 병원균 잡는 ‘착한’ 호중구가 담석 유발?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FAU) 연구팀이 면역세포의 활동이 담석 생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이뮤니티’ 8월 15일자에 발표했다. 담석은 쓸개즙 성분이 담낭이나 담관 내에서 응결되거나 침착돼 만들어지는 결정성 구조물로 극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백혈구의 일종인 호중구가 뿜어내는 ... ...
[과학뉴스] 신경 꿰뚫어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획득 능력을 기존 현미경보다 초당 100배가량 높인 새로운 홀로그램 현미경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17일자에 발표했다. 홀로그램 현미경은 레이저 2개가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 효과를 이용해 빛의 진폭과 위상을 파악한다.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홀로그램 ... ...
[과학뉴스] 열대 지방의 배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지방은 다른 열대 지방과 달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보다는 배출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8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탄소 관측 위성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OCO-2’와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GOSAT’의 관측 결과를 종합해 2009~2017년 열대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오랫동안 얼얼함이 남게 될까.중국국립표준화연구원(CNIS) 농업표준화연구소 연구팀이
국제
학술지 ‘케미컬 센시스’ 2017년 7월 5일자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사람이 마라 성분인 산쇼올을 섭취하면 농도에 따라 그리고 구강 내 접촉 부위에 따라 강도를 다르게 느낀다. doi: 10.1093/chemse/bjx038연구팀은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