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성
민중
인민
민족
국가
시민
공민
d라이브러리
"
국민
"(으)로 총 1,914건 검색되었습니다.
실개천이「끙끙끙」흐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렇지 못한 게 현실이다.합성세제가 그렇게 나쁘면 그 생산을 중단시키고 모든
국민
이 쓰지 않게 홍보하면 될 것 아니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할 수 없다는데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현재의 합성세제와 견줄 수 있을 정도로 값싸고 효력있는 세제를 구하기가 어렵기 ... ...
21세기 우주수송수단은 어떤 모습?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상공에서 산산조각이 나버렸다. 당시까지 24번을 발사하면서 한번의 사고도 없어, 미국
국민
들은 우주비행을 쇼핑센터 다녀오는 정도로 생각하던 터라 날벼락을 맞은 기분이었다. 사고원인은 고체연료로켓의 구조결함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2년8개월 동안의 공백 끝에 4백여 곳을 설계변경해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Perceptron) 으로 잘 알려져 있다.페이퍼트는 레고연구 이외에도 보스톤 슬럼가에 있는 한
국민
학교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학생 한명 당 컴퓨터 한대를 주면 도대체 교육시스템이 어떻게 바뀔 것이며 그 성과가 어떠할 것인가. 현재 아무도 그 대답을 할 수 없으나 우선 두가지를 ... ...
2001년 5월1일의 일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줄이는 것도 한계가 있는 데다가 무공해 대체세제를 개발하는 등 근본적인 해결노력없이
국민
의 도덕심에만 호소하는 건 너무 안이하고 피상적인 대책이었다.연주는 갑자기 물줄기 소리가 힘차지는 것 같자 얼른 수돗가로 뛰어갔다. 오랫만에 시원스럽게 나오는 물이었다. 집에 준비해둔 물통이란 ... ...
80년대 통폐합소동 되풀이 말아야 정부출연연구소, 존폐위기에 섰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진정한 의미의 이사회가 가져야만 가능할 것이다.출연연구소의 연구결과가 기업화되고
국민
복지와 연결됨이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경우만 해도 특허등록 3백30건(해외 70건), 기술실시 계약이 1백20건, 기업화실적이 1백80건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연구소가 기업화의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의 달이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리학자였던 김정호.
국민
학교 학생들도 다 아는 이름이다. 우리나라 과학자들 중에서 그처럼 널리 알려진 인물도 그리 많지 않다.그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이며 최고의 지도제작자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만든 사람이다.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전기식 계산기가 선보이기 시작했다. 1800년대만 하더라도 전체
국민
에 관한 통계자료를 처리하는 일은 여간 골칫거리가 아니었다. 즉 1900년에 조사한 통계자료를 처리해서 행정에 사용하려면 무려 1,2년이나 걸렸다. 그 사이에 인구는 또 늘어나고, 완성된 자료는 그 상태를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핑계로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인력의 수급에 관해서 '이만한
국민
소득일 때 일본은 전자공학자가 이만큼 필요했다'는 주먹구구식의 계획을 짜고 있는 정부의 안이한 태도도 문제다.학부과정에서는 전공을 너무 세분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지적도 많다. 한국과학기술원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공급했다. 또 이 해산물을 먹는 법을 일러 주었다. 소련과 인접한 폴란드에서는
국민
학교 어린이들에게 미역과 김을 배급하고 학교급식에 미역국을 끓여 주었다는 보도도 있다.원자력 방사선은 인체에 들어오면 갑상선에 제일 먼저 침범한다. 예로부터 감상선장애에는 요오드(iodine, 沃素)가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정도로 생각합니다. 이런 과학기술 마인드로는 우주개발은 불가능합니다." 이혁기씨는
국민
학교 4학년때부터 잡지에 난 망원경사진을 보고 이를 직접 만들어 보려고 문구점이나 안경점을 누비기 시작했고, 친구집에 가서도 망원경 재료가 될만한 것이면 무엇이든지 압수(?)했다. 중학교 2학년 때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