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맞은 품목이 있다. 바로 콩으로 만든 고기, 콩고기다. 구제역 때문에 소고기와 돼지고기 값이 올라가자 주부들이 대체품으로 콩고기를 찾은 것이다. 사실 콩고기는 채식주의자나 고기는 먹고 싶지만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은 피하고 싶은 사람들이 꾸준히 찾았다.흔히 ‘밭에서 나는 소고기’라고 ... ...
- [수학실험실] 피보나치 계단 위에서 본 나선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이웃한 두 수에 대해 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누어 비율을 구하면 두 수가 커질수록 그 값은 황금비(약 1.618)에 가까워진다. 그래서 피보나치 나선을 ‘황금나선’이라 부르기도 한다.피보나치 직사각형과 직육면체피보나치 직사각형피보나치 정사각형 여러 개를 연결하면 피보나치 직사각형을 만들 수 ...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109, 190, 1009, 1090, 1900, …도 모두 행복한 수란다. 행복한 수가 1이 되기까지 나온 결과 값들도 모두 행복한 수야. 19가 1이 되기까지 거쳤던 82, 68, 100은 모두 행복한 수인 셈이지.그런데 이런 수를 왜 행복한 수라고 부르냐고? 현재의 모습이 어떠하든 마지막은 결국 하나(1)가 되는 수 ... ...
- 코끼리 무덤의 진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같아요. ‘G = 30, 2, 15 G = 39, 3, 6 G = 5, 17, 3 이 세 개의 그룹을 각각 수식으로 만들어서 같은 값이 나오게 하면 코끼리 무덤으로 가는 구역이 나온다’ 라고 적혀 있는데요.”“아직도 코끼리 무덤을 찾아 헤매고 있는 사람들이 많구나.”그 헛된 것에 관심을 쏟는 사람이 여기 한 명 더 생긴다. 바로 ... ...
- 서울동북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사용하는 ‘12분 24초’와 같은 시간은 최소눈금이 1초인 시계로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참값이 될 수 없다는 것도 배웠거든요. 수업에 함께 참여한 홍유위 학생은 “아주 작은 부분이지만 오늘 공부한 내용이 중학교에 올라가서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어요.여러 개념을 정리한 뒤 학생들은 ... ...
- 300점 만점에 300점, 퍼펙트 볼링수학동아 l2011년 02호
- 1프레임부터 10프레임까지 스트라이크나 스페어가 없다면 넘어진 볼링 핀의 개수를 더한 값이 점수가 된다. 그러나 스트라이크나 스페어가 있는 경우에는 보너스 점수가 생긴다.우선 각 프레임마다 공을 굴릴 기회는 두 번씩 주어진다. 두 번의 기회 중 처음 스트라이크를 치면 두 번째 기회 없이 ...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수학동아 l2011년 02호
- 퍼지집합을 비판하는 수학자들이 많다. 보통은 통계자료를 이용해 시작값이나 끝값, 중간값을 정한다.사람이니, 컴퓨터니?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할 수 있을까.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은 “같은 질문을 컴퓨터와 사람에게 했을 때 사람과 비슷한 대답을 하면 컴퓨터도 지능을 가졌다고 ... ...
- 왜 0으로는 나눌 수 없나?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아니라 영이 아닌 어떤 수에 대해서 생각해도 마찬가지예요.a(0이 아닌 수)를 0으로 나눈 값을 c라고 하면 0×c=a가 돼야 하는데, 0에는 어떤 수를 곱해도 항상 0이 되니까 식 0×c=a를 만족시키는 c가 없어요. 그래서 0으로 나눌 수가 없답니다. 간단히 말하면 0으로 나누는 것이 불가능한 이유는 나눗셈이 ...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여러번 나올 수 있는데, 이때는 이동하는 칸 수에 비해 나올 확률이 워낙 작아 0에 가까운 값이 된다. 즉 도1×0.2+개2×0.31+걸3×0.34+윷도5×0.12×0.2+윷개6×0.12×0.31+윷걸7×0.12×0.34+모도6×0.03×0.2+모개7×0.03×0.31+모걸 8×0.03×0.34+윷윷도9×0.12×0.12×0.2+… ≒ 2.85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발견했다. 이 급수의 처음 7개 항까지의 부분합을 구하면 *②식이 되고, 각 항의 분모의 값이 급속하게 증가하므로 이 급수는 매우 빠르게 e에 수렴한다. 1737년에 오일러는 이 수를 다음과 같이 무한 번분수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무리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겉보기에 숫자들이 제멋대로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