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2,68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송전철탑 없는 고효율 전력기 탄생
과학동아
l
200205
고장이 발생하는 즉시(기존의 차단기보다 매우 빨리) 고저항 상태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
상태에서는 저항이 없어 손실이 없다가 이상전류가 발생하면 빨리 차단되고, 사고가 해결되면 다시 빠른 속도로 초전도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냉매로 사용하는 액체질소는 절연강도가 매우 높으며, 공기 ... ...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05
더듬이 천체는 수많은 별들이 모인 은하가 빚어낸 작품이다. 우리은하처럼
정상
적인 상태가 아니라 두 은하가 충돌해 특이하게 보이는 천체다. 더듬이 천체가 충돌중인 은하라면 까마귀에게 먹이가 된 곤충의 더듬이처럼 최후를 맞이한 모습일까.더듬이 은하는 우주공간에서 두개의 은하가 ... ...
손상된 척추신경 재생 성공
과학동아
l
200205
잃어버렸던 신경기능 중 많은 부분을 회복했고
정상
적인 보행 동작을 보였다. 하지만
정상
적인 감각기능을 완벽히 회복하지는 못했다.브래드리 박사는 이번 연구가 대단한 진전이기는 하지만 기적의 치료법 같은 것은 아니라며 완전한 치료법 개발을 위해서는 아직 넘어야 할 장애물이 많다고 ... ...
1. 공중에 떠다니는 초고속열차 시대 개막
과학동아
l
200205
짝을 이룬 전자는 ‘쿠퍼쌍’이라 불린다.짝지어 이동하는 전자쿠퍼와 그의 동료들은
정상
상태에서는 서로 반발하는 전자들이 초전도체 내에서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것으로 저항 제로의 비밀을 풀려고 했다. 가까이 있는 전자들이 서로 짝을 지어 전기저항을 사라지게 만드는 현상은 ... ...
Ⅱ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
과학동아
l
200205
한다는 점이었다. 먼저 1970-1971년 시즌과 2000-2001년 시즌에 영국 내에서 열린 1만8천여
정상
급 경기의 점수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경기점수가 많이 날 확률이 더 적어지는 분포를 따랐다. 2:0보다 5:0의 점수가 나기 더 힘들다는 말이다.반면 1백69개의 국가에서 펼쳐진 13만5천여 국내경기의 점수를 ... ...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05
경우 심장마비로 생명을 잃거나 정신질환에 걸릴 위험까지 있다.엑스터시와 같은 마약은
정상
적인 생활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주변 사람에게도 피해를 준다. 그래서 일반 약물과 달리 허가 없이 제조하거나 복용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은밀히 마약을 남용하는 ... ...
1 개인별 맞춤약물 제조시대 개막
과학동아
l
200204
정보를 주고받는 신경세포 사이의 작은 틈새다. 이 시냅스를 관장하는 것이 APP다.
정상
인의 APP는 자신의 기능을 마친 뒤, 대개 ‘알파 시크리테이즈’(α-secretase)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돼 대사된다. 하지만 치매환자의 APP는 ‘베타 시크리테이즈’(β-secretase)에 의해 분해돼 ‘베타 아밀로이드 ... ...
4 동물실험 대체할 독성 DNA칩
과학동아
l
200204
때 해당 부분이 형광을 나타낸다. 어디서 형광이 나타나는지를 조사해 후보물질과
정상
유전자의 발현 정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안전성을 평가한다.앞으로 독성유전체학이 더욱 발달하게 되면,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 뿐 아니라, 동물을 희생한다는 심리적·윤리적 거부감을 감내해야 하는 ... ...
디지털 시대의 인체 적신호 VDT 증후군
과학동아
l
200204
모니터 작업을 오랜 시간 동안 지속하면 눈이 따끔거리거나 시릴 때가 있다. 이 경우는
정상
적인 눈물 흐름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적신호다. 눈물샘에서 분비되는 눈물은 눈꺼풀의 깜박임에 의해 눈 표면에 골고루 퍼진다. 각막을 덮고 있는 눈물층은 눈을 깜박이지 않고 뜬 상태로 있을 경우 10초 ... ...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04
있다. 이 단백질은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타이로신 복합체를 활성화시키는 효소다.
정상
적인 세포의 경우 타이로신은 세포 분열이 필요한 경우에만 합성돼 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 하지만 백혈병 환자는 C-ABL이 끊임없이 타이로신을 활성화시켜 세포를 무한정으로 분열시킨다. 바로 백혈병이다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