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진귀한 나비를 잡는 순간의 스릴은 낚시와 비견할 수 없으며 표본을 만들어 놓음으로써
결과
가 반영구적이지요, 또한 희귀한 나비는 숲과 개울이 있는 곳에 많아 경치 좋은 곳에서 나비를 쫓다보면 운동과 스트레스 해소는 저절로 됩니다. 특히 나비는 오후 4시면 자취를 감춰 일찍 귀가할 수 있으니 ... ...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전기연구소 여러 대학들이 기본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어 수년 후에는 좋은
결과
가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국내개발과는 별도로 한국전력에서는 일본에서 개발한 50KW급 연료전지 발전설비 1기를 도입, 내년에 대전에서 개최되는 93엑스포에 전시할 계획을 갖고 있다. 또 가스공사에서도 미국의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방향에서 오고 있었다.역사의 아이러니(irony)답게 공교롭게도 그들이 없애려다 실패한
결과
발견한 그 열복사선은, 그들 바로 옆 동네 프린스턴 대학 학자들이 수년동안 애쓰며 찾아내려 했던 바로 그것이었다. 그 당시 프린스턴의 짐 피블스(J. Peebles)교수는, 마침 그러한 복사선이 우주에 존재한다면 ... ...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결과
생성된 그림은 디스크에 파일로 저장돼야 한다.결국 파일은 컴퓨터로 작업을 한
결과
나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료를 담아두는 단위라고 생각할수 있다. 종이 파일의 길이가 짧게는 한 장에서 많게는 책 한 권 분량도 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컴퓨터의 파일도 길이에는 제한이 없고 크기는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전송했다. 특히 이들은 화성에 과연 생명체가 존재하는가를 알아내는데 주력했으나
결과
는 'NO' 였다. 바이킹 1,2호는 이미 생명이 다했으나 (임무 수행 불가) 아직도 화성표면에서 먼지를 뒤집어 쓴채 지구인들이 자신을 데리러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마르스옵서버 이전 인류는 화성에 모두 19번에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나이테와 유사한 동심원상의 구조를 볼 수 없다.알껍질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이 알껍질이 조반류(Ornischians)의 것으로 판명됐다(1986년 독일 본대학 에르벤(Erben) 교수의 조언). 조반류의 알껍질은 이제까지 러시아 유럽 중국과 몽골 등의 상부백악계에서 발견됐으나 우리의 알화석이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결산하면서 두가지 방향에서 회의 운영을 바꾸어보렵니다. 하나는 그동안 쌓았던 연구
결과
를 바탕으로 좀더 깊이 있는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그간 소홀히 했던 대중화 작업을 체계적으로 시도해보려 합니다." 올해 회장으로 선출된 김용현(48)씨의 말이다.전체적인 식물 이름 아는데 1 ... ...
3. 64메가 D램 개발 공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주관 하에 삼성 금성 현대 등 반도체 3사가 공동으로 진행해 온 국책과제로 '연구
결과
에 대한 발표는 전자통신연구소의 사전승인을 받은 후에 한다'는 협약에 따라 미루고 있었다"며 삼성측을 맹렬히 비난하면서 발생했다.삼성의 개인플레이이번 사건의 초점은 크게 세가지로 모아 진다. 먼저 두 ... ...
노인성치매 미리 예견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쪽이 다른 그룹보다 3.5분의1 밖에 나타나지 않았다.이를 통해 나타나는 특징적인
결과
는 알츠하이머병이 나타나기 전에 심하게 APP양이 떨어진다는 것. 같은 환자끼리 검사를 했을 때도 검사 당시에는 가장 경증였던 사람의 APP양이 가장 적었는데 결국에는 이 환자가 가장 증상이 심하게 나타났다고 ... ...
선거와 언론보도 어떤 관계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을 두려워 해 자기의 의견과 다수의 의견이 같은가 다른가를 매우 신경쓴다고 한다. 그
결과
다수파라고 느끼는 사람은 언론에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사표시를 하고 소수파는 침묵을 지키지만, 이른바 전체적인 세론(다수파의 의견)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는 주장이다.그러나 최근들어 ... ...
이전
1434
1435
1436
1437
1438
1439
1440
1441
1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