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박사"(으)로 총 1,8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2017.02.14
- 컴퓨터과학자가 개념 제안 2005년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의 컴퓨터과학자 다비드 하렐 박사는 학술지 ‘네이처 생명공학’에 기고한 글에서 생물계에서도 튜링 테스트와 비슷한 설정이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즉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역시 다분히 철학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생명체를 ... ...
- [네이처]스마트폰으로 상처 찍어 보내면, 인공지능 의사가 바로 처방을?동아사이언스 l2017.02.05
- 인식 등에 활용됐다. 이와 관련된 미국 스탠퍼드대 전자공학부 안드레 에스테바 박사과정생의 논문이 네이처 2월 2일자에 실렸다. 질병을 판단하는데 인공지능을 쓰는 사례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IBM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닥터 왓슨’은 이미 의료 현장에서 진료에 도움을 주고 있다.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컴퓨터과학과 수리과학이다. 레그는 영국 UCL 개츠비 컴퓨테이셔널 신경과학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밟으며 인공신경망, 강화학습(인공지능이 스스로 학습해 능력을 강화하는 것) 등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처럼 컴퓨터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로 드러나는 AI는 단순하지 않다. 수학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2017.02.01
- 메커니즘이 그럴듯해 보이는 이유다. 사우스캘리포니아대의 역학자 지우치우안 첸 박사는 최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 세계 치매 환자 발생의 21%가 대기오염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2014년 세계보건기구는 흡연이 알츠하이머병 발생원인의 14%를 차지한다고 발표한바 있다. 흡연을 통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2017.01.23
- 이는 사람들이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 GIB 제공 코헨 프리바 박사는 2400여 건의 전화통화를 담은 데이터를 분석해 어휘와 문법의 정보밀도와 발화속도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대화에서 잘 안 쓰는 단어의 빈도가 높을수록 발화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 ...
-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동아사이언스 l2017.01.22
- 왔는지를 궁금해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의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 비 응웬 박사 연구팀이 뜨거운 곳을 좋아하는 박테리아의 열적응 메커니즘을 밝혔습니다. 그랜드 프리즈매틱 스프링에 살고있는 박테리아 내 효소의 촉매 반응이 각각 어떤 온도에서 가장 활발해 지는 지를 관찰한 ... ...
- 수소 원자,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01.15
- 수소 원자를 표현해낸 것이다. Science 제공 체코과학학술원의 루카스 팔라티누스 박사가 이끄는 체코, 프랑스 국제 연구팀은 나노미터 단위의 작은 분자에서 수소 원자의 위치를 찾아내는 새로운 방법을 과학전문학술지 ‘사이언스’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물질은 원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있는 시스템생물학연구소(Institute for Systems Biology)의 리로이 후드(Leroy Hood) 교수 지도하에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툴을 개발했다. 후드 교수와 함께 시스템생물학을 질환에 적용하는 연구도 시작했다. 연구 대상은 광우병이었다. 광우병은 바이러스나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2017.01.04
- 러브록의 강연에 흥미를 느꼈고 성층권에서 CFC가 무슨 일을 하는지 규명해보기로 했다. 박사후연구원 마리오 몰리나와 연구를 시작한 롤런드는 성층권에 도달한 CFC가 자외선으로 쪼개져 염소가 생기고 시세론과 스톨라르스키가 제안한 것처럼 오존층을 파괴함을 입증했다. 이들은 이 결과를 1974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2017.01.02
- 샤프롱으로도 탁월했다. 그녀가 화이트헤드연구소에 있는 15년 동안 100명이 넘는 박사후연구원, 대학원생, 학부생이 지도를 받았다. 린드퀴스트는 특히 언어를 중요시해 실험을 잘하는 것만큼이나 논문을 잘 쓰는 것도 중요하게 여겼다. 즉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명쾌하면서도 쉽게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