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이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뉴스
"
특수
"(으)로 총 1,534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어붙은 한국 쇼트트랙, 원심력을 이겨라!
동아일보
l
2014.02.14
‘ㄱ(기역)’자 형태로 디자인됐다. 쇼트트랙 선수들의 장갑 끝 부분은 매끄러운
특수
합성 소재로 덧발라져 있다. 곡선주로에서는 기울기가 심해 넘어지지 않으려고 왼손으로 빙판을 짚는데 이때 마찰로 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특이한 모양 때문에 ‘개구리 장갑’으로 불리는 ... ...
[정성희 칼럼]“로켓발사는 위성택배 사업”
동아일보
l
2014.02.11
H-2 로켓은 모두 26번 발사에 한 번 실패로 성공률은 96%다. 이들 로켓은 극히 일부
특수
한 소재와 부품을 제외하고는 모두 일본산으로 제작한다. 우주로켓 프로젝트에 미쓰비시 같은 대기업뿐 아니라 300여 개 중소기업이 참여한 결과다. H-2 로켓의 H는 하이드로젠(Hydrogen), 즉 수소다. 액체수소는 ... ...
[신나는 공부]한 학기 결과를 좌우할 신학기 목표설정
동아일보
l
2014.02.11
글로벌 리더십을 갖추기 위해 노력한다. 중학교 때부터 외국어고나 국제고 등
특수
목적고 진학을 목표로 세울 수도 있다. 윤 이사는 “목표가 생긴 학생은 필요한 학습량과 수준을 스스로 가늠하고 준비해 나간다”며 “진로목표를 구체화하는 것은 아이들이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스스로 ... ...
연구 열정 앞에는 뱃멀미도 '저리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2.09
시간 '관측은 계속된다' 아라온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쇄빙선(얼음을 깨면서 항해하는
특수
선박)이다. 본지 기자가 아라온호를 타고 2월 남극으로 향했다. - 극지연구소 제공 김정훈 극지연구소 극지생명과학연구부 선임연구원은 남극도둑갈매기(스쿠아)를 연구하는 학자다. 김 연구원이 ... ...
스포츠 산업, 수학으로 꽃피우다!
수학동아
l
2014.02.07
모습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만들어 확인하며 트랙의 모양을 설계한다. 이같은
특수
성 때문에 수학적인 계산과 건축 기법을 동시에 고려해 썰매 경기 트랙만을 설계하는 전문 회사까지 생겨났다. 왼쪽은 2010년 벤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사고로 목숨을 잃은 동유럽 국가 조지아의 루지 대표선수인 ... ...
KAIST도 세종시에 가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바이오 관련 특성화 연구기관’으로 육성할 계획이었던 것. 또 미래전략대학원 등
특수
학위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도 새 캠퍼스가 불가피 하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KAIST의 요청에 따라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해 부지매입비 명목으로 120억 원의 예산을 기재부에 신청했지만 "대학 구조조정이 ... ...
진짜 '검은' 블랙홀
과학동아
l
2014.01.28
천체물리학 연구소 호르헤 카사레스 박사팀은 어둡고 은밀한 새로운 형태의 블랙홀을
특수
한 방법으로 발견한 뒤 그 특성을 밝혀 ‘네이처’ 1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85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어두운 천체 하나와 크고 밝고 푸른 별 MWC656을 발견했다. 서로가 서로의 주위를 도는 ... ...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저전력 트랜지스터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그 위에 유기반도체를 올려 만드는데, 유기반도체와 절연층의 성질이 서로 달라
특수
한 표면처리를 해야 했기 때문. 15일자 '어드밴스드 머터리얼' 표지. 플라스틱 소재의 '고분자'를 '유기트랜지스터' 속 절연체 위에 처리한 결과 전하의 이동이 훨씬 개선됐다. 연구팀은 ‘고분자 브러쉬’를 ... ...
"표준모형 완성은 힉스가 아니라 모노폴"
과학동아
l
2014.01.27
이어졌다. "힉스가 실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는 질문에 조 교수는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론이 핵폭탄을 탄생시켰듯, 아무 쓸모 없어 보이는 힉스 입자가 무얼 만들어 낼지 아직 모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일본에는 전 세계에서 수십 명만 쓰는 언어를 연구하는 학자도 있다"며 ... ...
‘나노횃불’로 생체현상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3
분포를 20nm 크기까지 분석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이 정도의 해상도를 관찰하려면 고가의
특수
영상장비가 필요했다. 일반 광학 현미경으로는 수백 nm 크기를 관찰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이 장치의 해상도는 우주에서 지구인의 손바닥을 식별하는 정도”라며 “이 나노칩은 기존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