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뉴스
"
역할
"(으)로 총 8,4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뒷담화'의 사회적 순기능
2023.10.07
피해를 입지 않게끔 2차 가해를 방지하는
역할
을 하기도 한다. 가십의 또 다른 대표적인
역할
은 ‘결속’이다. 보통 좋지 않은 일에 대한 이야기이고 가십의 대상이 가십의 존재를 알면 안되므로 많이들 ‘믿을 만한’ 사람에 한해 가십을 시도한다. 때로 아무에게나 모두의 험담을 하는 사람도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도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기기억 정보를 인출할 때도 DLPFC와 같은 피질 영역들의
역할
이 필수적이므로, 기억과 관련된 DLPFC의 특정 활성 패턴은 정상적 기억 기능이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노화가 진행되면 이러한 단/장기 기억과 관련된 뇌 속 기전들이 함께 또는 ... ...
나무가 대기오염 주범?...지구 더워지면 가능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식물이 병충해와 고온에 더 잘 견디도록 돕는
역할
을 하는 이소프렌은 다섯 개의 탄소 등으로 이뤄진 탄화수소다. 그 자체로는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다른 산화물과 반응하면 대기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탄화수소와 이산화질소가 반응하면 ... ...
미세세포가 '기후위기' 구원투수?…"합성생물학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과학자들은 합성생물학이 '기후 위기 해결사'
역할
의 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은 생물의 세포를 특정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잘라내고 합성하는 분야다. 최근 돼지 몸속에서 인간의 신장을 키울 때 활용된 ... ...
네이처 "R&D예산 삭감으로 한국 과학계 아우성...젊은층 사기저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KAIST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R&D 예산 삭감은 (젊은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강화하는
역할
만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두철 전 한국기초과학연구원장은 "비록 삭감이 진행되지 않더라도 예산을 삭감하겠다는 안이 나왔다는 사실 자체가 이미 사기를 해쳤다"며 "연구자들은 장기 프로젝트를 ... ...
새로운 양자컴퓨터 초읽기…국내 연구진 주도 ‘전자스핀 양자비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여러 원자스핀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복수 티타늄 원자 구조를 만들었다. 이어 센서
역할
을 할 티타늄 원자에 탐침을 두고 원격제어 방식을 적용해 센서 및 원거리에 놓인 여러 양자비트들을 단 하나의 탐침으로 동시에 제어 및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단일 원자 ... ...
우주 탄생 수수께끼 밝힐 '거대마젤란망원경', 마지막 반사경 제작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3.10.05
거대마젤란망원경(GMT) 완성 모습(예상도) 지름 8.4m의 거대한 반사경 7장이 특징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은 천문연을 포함한 13 ... 우리뿐인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며 우리나라가 추격자
역할
이 아닌 선도자
역할
을 하는 데 토대가 되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 ...
고양이가 내는 소리 '가르릉' 뇌 활동과는 무관
동아사이언스
l
2023.10.04
이 덩어리가 성대의 밀도를 높여 성대가 천천히 낮은 주파수의 진동을 내도록 돕는
역할
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와 같은 움직임은 뇌에서 전달되는 신호나, 고양이가 의식적으로 근육을 수축 및 이완하는 것과는 상관없다"고 설명했다. 고양이의 가르릉 소리가 능동적인 반응이 ... ...
네이처 편집장 “유럽 남성 중심 과학 연구에서 벗어나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0.04
벌어지고 있어 논문 관련 행위자들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며 ”개별 연구자의 책임과
역할
이 중요하고 지도 교수, 논문 편집자, 연구 지원기관, 대학 등 연구기관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하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에서 여성 과학자(앤 륄리에 스웨덴 룬드대 교수)가 수상을 ... ...
[노벨상 2023] "mRNA백신으로 코로나19 사망 줄여"...개발 주역, 생리의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3.10.02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mRNA 백신이 신속하게 개발된 것도 이들의 변형 기술이 결정적인
역할
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응용 기술은 향후 다른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교수는 ”감염병 대응을 위한 백신 개발과 함께 암백신 개발에도 도움이 된다. 특정한 암에 대응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