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55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분 더 먹고 전기 덜 쓰는 제습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향상됐다. 전력소모량도 기존 전기식 제습기 대비 40% 이상 절감됐다. 장종산 올레핀
분리
팀장은 “고온다습한 하절기나 미세먼지가 많은 동절기에 두루 활용할 수 있다”며 “에이올코리아와 상용화에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에이올코리아는 연구팀의 MOF 제습 로터를 적용해 ... ...
IBS 새 연구단 2개 신설…'중이온가속기' '양자정보'에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쌍을 이뤄 통과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초전도 소자 방식과 자기장을 이용해 이온을
분리
해 양자 상태를 측정하는 이온트랩(이온덫) 방식 등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온트랩 양자컴퓨터는 다른 유형의 양자컴퓨터에 비해 오류가 적고(논리 성공률 99.9%),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마츠케비치 ... ...
소형발사체도 재사용 시대 열렸다…'로켓랩' 재진입 테스트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재사용하기 위한 회수 계획을 처음으로 밝혔다. 우주상에서 일렉트론의 1단과 2단 로켓이
분리
되면 1단 로켓은 기수를 돌려 다시 지상으로 향한다. 대기권에 진입한 이후에는 속도를 낮추기 위해 낙하산을 편 채 천천히 떨어진다. 그러면 주변에서 대기하고 있던 헬기가 낙하산 줄을 낚아채 로켓을 ... ...
"똥본위화폐로만 입장권 살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난방 연료가 되고, 이산화탄소는 조류배양조로 옮겨져 미세조류의 먹이가 된다. 이렇게
분리
한 이산화탄소는 녹조류를 배양하는 데 사용되고 이 녹조류를 짜내면 나오는 식물성 기름을 화학 처리하면 친환경 연료인 바이오 디젤로 사용할 수 있다. 사람의 하루 용변량을 200g이라고 보면 10 ... ...
초미세먼지 수치 정확할까…측정기 정확도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부분 두 갈래로 나뉜다. 이 부분을 통과한 먼지를 순차적으로 측정하면 먼지 크기별로
분리
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원리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을 통해 국내외 업체에서 의뢰한 14건의 입경분립장치 효율을 평가했다. 현재 맞춤형 기술지원을 강화해 국내 측정기 업체가 개발 단계부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돌아갔다. 상의 절반은 전통 약초인 개똥쑥에서 말라리아 치료제 성분인 아르테미시닌을
분리
해낸 중국의 투유유 교수가 받았고 나머지 절반은 감염된 사람을 실명에 이르게 하는 사상충증 치료제 이버멕틴을 개발한 윌리엄 캠벨과 기초연구를 한 오무라 사토시가 나눠 가졌다. 그런데 이버멕틴의 ... ...
태양전지 효율 이론 한계 뛰어넘을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효율이 이론값을 크게 밑돌았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먼저 원자층을 쉽게 2차원으로
분리
할 수 있고 캐리어 증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전이금속 칼코젠 화합물에 주목했다. 전이금속 칼코젠 화합물은 광흡수율이 높고 캐리어 이동성이 우수해 차세대 태양광 소재로 각광받는 물질이다. ... ...
틀린 그림 찾기? 다른 유전자 찾기!
과학동아
l
2019.12.02
개체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물떼새의 서식지가 합쳐졌다가
분리
됐는데(2차 접촉), 당시 집단 간 유전자 이동(흐름)이 일어났고 이후 지리적으로 격리되면서 닮았지만 유전적으로 다른 지금의 모습으로 진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물떼새의 표현형 특징을 유전적으로 ... ...
17년 전 남태평양서 발견한 극한 미생물로 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9
서모코커스 온누리누스 NA1을 배양하는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2002년 심해에서
분리
된 뒤 17년이 지나면서 여러 특성이 변했다. 수소 생산성에 최적화됐다. 강 센터장은 “배양기에는 수소 외에 끓는 물에서도 안정한 효소 등 다양한 소재를 발굴할 수 있다”며 “이들을 생산하는 미생물 공장으로 ... ...
"포유류의 귀, 턱 움직임 때문에 진화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8
보라색 작은 조각이 등자뼈, 파란색 계통이 모루뼈(여러 뼈가 융합된 경우도 있고
분리
돼 있는 경우도 있다), 녹색이 망치뼈다. 최소 세 뼈가 귓속뼈와 중이를 구성하는 게 포유류의 특징이다. 네이처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