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변
대소변
사고
재앙
난리
변두리
근교
뉴스
"
변
"(으)로 총 1,583건 검색되었습니다.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2018.11.25
모두 각
변
의 길이가 정수고, 각각 세
변
의 길이의 최대공약수가 1인 직각삼각형과 이등
변
삼각형으로는 조건을 만족하는 삼각형 쌍이 없다는 것을 어려운 수학 이론 없이 증명해 놓았습니다. 이 증명을 보면 본래 문제도 고등학생도 알 수 있는 수학만으로 증명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하지만 ... ...
[암호기술 혁명]④프라이버시 지키며 유전체 빅데이터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발생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반영한 예측 모델을 얻을 수 있다. 이 모델에 누군가의 유전자
변
이 정보를 입력하면 그 사람의 암 발생 가능성을 알 수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겠다고 전 세계에서 약 30개 연구팀이 참가 신청을 했다. 최종적으로 완성 모델을 제출한 팀은 천 교수팀을 포함해 7개 팀에 ... ...
유전자
변
이 막고 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김정선‧이영철 교수 연구팀은 사람 몸 속 효소(단백질)를 조절해 후천적 유전자 발현
변
이 현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알아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몸 속의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에 주목했다. 암세포의 사멸, 종양의 혈관형성과 전이, 면역세포의 분화 및 억제, 근육분화 및 심근형성 등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인간에 이로운 맞춤형 단백질 만들다
2018.10.04
디스플레이 기술은 그후 필자도 연구를 해온 세포표면발현(cell surface display)기술 등으로
변
신하며 ‘유도진화’기술과 더불어 대사공학을 포함한 생명공학 전반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올해 노벨 화학상을 받은 기술을 오랜 기간 활용해 온 필자로서는 감회가 남다르다. 유도진화 기술을 ... ...
인간에 이로운 단백질공장을 만들다…효소·항체설계자 3인에 노벨화학상(재종합)
2018.10.03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화학상 선정위원회 위원들이 3일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답
변
하고 있다. 아놀드 교수는 1956년생 미국 미츠버그 태생으로 9년 만에 탄생한 여성 노벨화학상 수상자다. 마리 퀴리(1911년 수상), 아다 요나트(2009년 수상) 등에 이어 5번째 수상자가 됐다. 스미스 교수는 1941년 ... ...
적 위성 요격하고 1시간만에 지구 반대편 폭격하는 '우주전' 현실로
과학동아
l
2018.10.01
압축해 배출하는 힘을 이용하는 제트엔진으로는 우주를 비행할 수 없다는 뜻이다.
변
교수는 “우주공간으로 나가는 로켓은 연료와 산화제를 모두 싣고 로켓엔진을 사용한다”며 “우주와 지상에서 비행 가능하려면 터보제트엔진과 램제트엔진, 로켓엔진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엔진을 복합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시아노박테리아가 내보내는 아미노산 BMAA가
변
이 단백질을 만들어 여러 신경퇴행성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게 밝혀지면서 BMAA를 많이 함유한 식재료를 찾는 연구가 진행됐 상어지느러미에 BMAA 농도가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샥스핀 스프. - 위키피디아 제공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초음파 영역에서 내는 ‘찍찍’거리는 소리가 바뀌었고 뇌 기저핵 부분의 신경회로가
변
화됐다. 사람형 FOXP2를 지닌 보노보의 발성기관 구조가 바뀌어 앵무새 수준으로 발음할 수 있게 된다면 칸지 정도의 의사소통능력을 지닐 경우 어떤 말을 할까. 아마도 알렉스보다는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35개로 이뤄진 펩티드 ShK가 칼슘 통로를 차단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뒤 이를 조금
변
형해 Kv1.3에 좀 더 선택적으로 달라붙는 펩티드 약물 달라자티드(dalazatide)를 만들었다. 지난 2015~17년 건선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 결과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돼 신약 개발의 한고비를 넘겼다. 지난 ... ...
유전체교정 시금치로 만든 파스타, 식탁에 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유전자 가위 기술은 전체 유전체의 10억 분의 1을 바꿀 뿐이다. 자연적인
변
이나 방사선 육종 기술을 적용했을 때와 동일한 수준”이라며 “세계 어느 곳도 육종 품종을 GMO로 규제하는 곳은 없다”며 “유럽사법재판소의 결론은 비과학적이고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이덕환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