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뉴스
"
박사
"(으)로 총 6,987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임선희 교수 "여러 세대가 쓰는 아이디어 내고 싶어"
수학동아
l
2023.01.21
것부터 하나씩 증명하느라 시간이 꽤 걸렸습니다. " Q. 연구 과정이 궁금합니다. "제
박사
후 연구원 멘토로 만났던 공동 연구자인 프랑스 수학자 프랑수와 르드라삐에와 각자 자료를 찾고 연구를 하다가 2013년에 르드라삐에가 아예 서울에 와서 함께 한 달 동안 연구했어요. 이후 2014년 가을부터 ... ...
고래 몸집 커지게 한 유전자 규명.."암 치료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세포분열을 해야 하는데 이는 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네리
박사
후연구원은 "4개의 유전자는 고래가 몸집을 키우도록 하면서 암을 억제하는 역할에도 관여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마이클 맥고웬 미국 자연사박물관 연구원은 "고래의 몸집이 커지게 된 비결을 분석하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GIST)은 이수정 기초교육학부 교수와 오상현 미국 캘리포니아대 머세드 물리학
박사
과정생 오상현씨가 시인 이상의 시 '진단 0 : 1'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공간에 관한 시임을 규명하고 이를 해설했다고 19일 밝혔다. '진단 0 : 1'은 가운뎃점(·)이 대각선을 가로지르는 11행 11열의 숫자 표와 '진단 0 : 1 ... ...
소변 유래 순환 RNA 이용해 '전립선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신용 연세대 교수, 김청수 이대비뇨기병원 교수, 구본한 연세대
박사
후연구원.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소변에 담긴 메신저 리보핵산(RNA)을 이용해 전립선암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세대는 신용 생명공학과 교수와 김청수 이대비뇨기병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소변 유래 순환 RNA를 농축, ... ...
서고의 책을 고르자 로봇이 반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시스템 개발에 함께 참여한 강다현 KIST
박사
후연구원은 “개발한 시스템은 일상생활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그간과는 다른 개념의 새로운 로봇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KIST 제공 KIST ... ...
호흡 속 가스 분석해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김상훈
박사
과정 연구원, 문영국 선임연구원, 정성용 교수. 고려대 제공 사람이 내쉬는 호흡 속 가스를 분석해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센서가 개발됐다. 고려대는 정성용 첨단소재부품개발연구소 교수 연구팀이 팔라듐 촉매가 첨가된 다공성의 산화주석을 이용해 대표적인 생체지표 가스 ... ...
시각·청각 장애 있어도 '같은 세계'를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일어난 것이다. 이번 연구 논문의 제1저자인 프란체스카 세티 IMT루카고등연구소
박사
후연구원은 "인간의 뇌는 시각이나 청각 경험으로부터 독립된 채 외부 세계를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도 전형적인 발달을 거친 사람과 동일한 인식을 가진 것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 ...
인간이 개를 길들인 비결은…"동물에게도 통하는 이타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특히 개는 2만3000년 전 늑대와 유전적으로 분리되며 일찍이 가축화된 동물이다. 레디
박사
후연구원은 "동물의 가축화는 인간의 생존을 유리하게 만들었다"며 "동물 가축화가 이뤄진 미스터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증거"라고 논문의 의의를 설명했다. 반려견과 어린이의 교감 실험에 참여한 ... ...
문제일 DGIST 뇌과학과 교수, 제24대 한국뇌신경과학회장 취임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뇌과학 분야 학술단체다. 문제일 교수는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UCL)에서 신경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존스홉킨스 의대를 거쳐 현재 DGIST 대학원장을 맡고 있다. 후각신경을 중심으로 치매 기전연구부터 향(香) 산업까지 기초‧응용연구의 실용화 및 대중화를 위해 폭넓은 연구 활동을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