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뉴스
"
다리
"(으)로 총 1,679건 검색되었습니다.
[청년드림]상담~사후관리 7단계 취업
다리
큰 성과
동아일보
l
2015.08.12
[동아일보] 고양캠프, 청년 일자리 메카 부상… 2015년 맞춤형 취업자 3000명 넘길 듯 경기 고양시의 청년층(15∼34세) 취업자는 지난해 1967명으로 한 해 전보다 531명 늘었다. 올해는 5월 말까지 1525명에 달해 연말쯤이면 3000명을 훌쩍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고양시가 청년 일자리의 메카로 자리 잡은 ... ...
2cm 몸으로 14cm 점프 ‘소금쟁이 로봇’
2015.07.31
소금쟁이를 모사한 ‘소금쟁이 로봇’. - 서울대 제공 맑은 물 위에 떠 있는 작은 로봇. 길이 2cm인 직사각형 몸통에 가늘고 긴 네
다리
를 ... 대량으로 흩어져 감시, 정찰, 인명 발견 등의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조 교수는 벼룩의
다리
구조를 그대로 본뜬 ‘벼룩 로봇’도 개발한 바 있다. ... ...
‘웨딩드레스’ 입은 신부날개매미충
2015.07.26
소스라치게 놀라곤 한다. 어릴 적 놀러간 시골 할머니 댁에서는 평소에 보지 못했던
다리
가 많은 벌레들이 스르륵 지나가 밤잠 못 이룬 기억도 있을 것이다. ‘한국의 파브르’라고 불리는 정부희 고려대 한국곤충연구소 연구교수가 20여 년 곤충과 동고동락하며 관찰한 곤충들의 모습을 책으로 ... ...
혈관과 뼈 동시에 3D프린터로 출력
2015.07.21
것”이라며 “3D프린터로 잇몸 뼈를 만드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팔과
다리
뼈까지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이 추진 중인 ‘신산업창조프로젝트’ 지원으로 이뤄졌다.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볼 수 있다. 즉
다리
를 시계추라고 보면 시계추가 엇갈려 왔다갔다하는 셈이다. 걸을 때
다리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 바로 종아리근육과 아킬레스건이다. 즉 내디딘 발의 상대적 위치가 뒤로 밀리는 과정에서(실제로는 몸이 앞으로 나가면서) 종아리근육과 아킬레스건이 수축하고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14
우리보다 훨씬 오랜 기간, 많은 자금을 투자해 로봇을 연구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휴보
다리
에 뽕뽕 뚫린 구멍이 보이죠? 모터가 과열되는 걸 막기 위해 고효율 공기 냉각장치를 단 거예요. 하지만 이런 로봇은 구멍 사이로 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에는 밖에서 쓸 수 없겠지요. 또한 ... ...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변형센서는 소재에 변형이 일어나면 전기전도도가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변형센서를
다리
등 큰 건축물에 붙일 경우 건축물의 변형 여부를 파악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과 함께 센서를 인체에 부착할 수 있는 유연한 상태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돼왔지만 기존 ... ...
"휴보 아빠, 25일 사이언스바캉스 온다"
동아일보
l
2015.07.13
보니 과감하게 모든 것을 버리고 바꿨어요. 아담했던 휴보의 키(125cm)도 168cm로 키우고
다리
에 대용량 축전기를 달아 힘도 키웠죠.” 보이지 않는 비장의 무기도 있었다. 차에서 자연스럽게 뛰어내리는 기술, 즉 ‘수동 순응 제어(패시브 컴플라이언스 컨트롤)’라고 불리는 기술이다. “차에서 ... ...
뇌 3개 연결해 뇌 하나처럼 쓴다
2015.07.10
차원 범위를 나타낸다. - 사이언티픽 리포트 제공 지난해 브라질 월드컵에서 교통사고로
다리
가 마비된 환자에게 엑소스켈레턴(외골격) 슈트를 입혀 시축을 성공시켰던 미겔 니코렐리스 미국 듀크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이 이번에는 원숭이 3마리의 뇌를 연결해 가상의 로봇 팔을 정교하게 움직이게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했다. 팀 카이스트의 김인혁 연구원은 “힘이 좋아야 걸을 때 안정성이 있다고 판단해
다리
에 ‘슈퍼 커패시터(대용량 축전기)’를 부착했다”면서 “전기를 모았다가 한꺼번에 내보내 강한 힘을 낼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모터가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냉각장치도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