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레이닝
교육
연습
조련
단련
교련
훈육
d라이브러리
"
훈련
"(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을 너무 닮아 슬픈 운명에 오랑우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때로는 잠깐 쉬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민첩성은 타고난 재주가 아니다. 어미로부터
훈련
을 받아 숙련된 동작인 것이다.그들은 들판에서 사람을 만나면 다른 원숭이들처럼 소리를 지르거나 요란을 떨지 않는다. 오히려 살짝 나무 뒤로 숨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그들을 발견하는 것 자체가 ... ...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용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세계각국의 주요문헌들이 가득 차 있었다.학자들은 대개 소련의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훈련
을 받고 온 사람들이었다. 불가리아도 루마니아처럼 외화가 부족한 나라여서 외국문헌을 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물론 제한된 범위에서 경험한 일들이지만 그 기간동안 접촉한 동구의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우리나라 전국 대학 박사배출수의 약15%를 점하는 숫자.더욱이 과학원 학생의 경우 4주만
훈련
을 받고 병역의무를 면제해주는 특례보충역의 헤택을 받아 과학기술계의 세계적인 추세인 '20대박사'를 다수 배출하고 있다. 20대박사 비율은 전체적으로 70%를 상회하는 수준. '박사배출이 뭐 그리 대수로운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그렇지만, 특히 독해의 경우는 강의를 듣기 전에 학생이 지문의 내용을 파악해 보는
훈련
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습을 해야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독해력은 번역된 것을 보거나 강사의 설명을 들어서는 향상되지 않는다. 전혀 모르는 지문을 읽어서 그 내용을 스스로 알아내는 것이 독해력이다. ... ...
돌고래의 언어습득
훈련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영장류와 바다 포유류 가운데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는데 가장 뛰어난 동물은 침팬지와 돌고래로 알려지고 있다.특히 돌고래는 바다 포유류 가운데 몸집에 비해 가장 큰 대뇌를 갖고 있으며 인간의 여러 제스쳐를 재빨리 익히는 영특함으로 사랑을 받고 있다.돌고래에 인간의 말을 습득시키려는 노 ... ...
컴퓨터인물/전자통신 연구소 오길록박사 중형컴퓨터개발 어떻게 돼 가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출신들은 복제기술이나 컴퓨터 운용경험밖에 없어서 컴퓨터개발작업은 바로 교육과
훈련
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이 진정한 엔지니어로 환골탈태하는 것이야말로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큰 성과일 것입니다."오박사는 83년 8비트 교육용 PC개발을 맡은 것을 필두로 삼성전자가 현재 ... ...
최면의 정체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깊이는 선천적으로 그 사람이 타고난 자질과 성격 환경등에 의하여 조절된다. 간혹
훈련
에 의해 최면의 깊이를 깊게 할 수도 있기는 하나 아주 적은 범위이내의 변화일 뿐이다. 최면감수성이 낮은 사람을 환각 마비 연령퇴행이 일어나는 깊은 최면상태에 빠지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단 예외는 있다. ... ...
앨라스카의 개썰매 경기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다른 개로 교체할수는 없다. 개들은 모두 '허스키'종인데, 이들 개는 경기용으로 특수
훈련
을 받았다. 주파거리 1,888km는 지난 1925년 앵커리지에서 '놈'까지 개썰매로 디프테리아 약을 운반한 일에 기원을 두고 있다. 우승자에게는 5만달러의 상금이 주어진다 ... ...
한국의 수학두뇌 만들기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1989년)의 IMO는 서독의 브라운 슈바이크에서 개최된다. 이 대회에 참가할 선수를 선발하고
훈련
하는 단계로 제2회 KMO를 작년 9월 7일 실시하였고, 여기서 입상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1차 통신강좌를 이미 실시하였다. 여기서 성적이 우수한 41명에게 겨울학교입교가 허가되었는데, 1명은 입교하지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수 있다는 것은 실로 놀랄만한 일이다. 먹이를 일정한 장소에서 제공하는 방법으로
훈련
된 두더지는 설령 거기로 통하는 길이 완전히 파괴되어 버려도 그곳을 다시 찾아낼 수 있다. 이 경우 두더지가 순전히 냄새에 의존하여 그 통로를 찾았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두더지는 한번 지나간 길의 방향을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