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국제우주정거장(ISS)까지 화물선 ‘드래곤’을 실어 나르던 ‘팰컨9’ 3기를 일렬로 세운 형태다. 필 라슨 스페이스X 대변인(미국 콜로라도 볼더대 교수)은 “팰컨9이 대부분의 우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면, 팰컨 헤비는 인류의 모든 우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팰컨헤비의 가장 큰 ...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로봇연구 초기에는 잠자리나 바퀴벌레, 세균 등에 기계 장치를 달아 조종하는 형태였다”며 “최근에는 거꾸로 기계 장치에 동물의 일부 기관을 결합하는 연구가 많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소속 위스생체모방공학연구소(Wyss Institute for Biologically InspiredEngineering)의 박성진 연구원, ...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쥐를 변비에 걸리게 한 뒤 2주간 요하이 초콜릿을 먹였다. 그러자 분변이 정상에 가까운 형태로 호전됐다. 장내 유익균인 비피더스균의 비율도 변비에 걸린 경우에 비해 1.8배 이상 증가해 장내 환경이 건강해졌다. 거꾸로 요하이 초콜릿을 3주간 먹인 쥐에게 변비를 유발했더니, 이 경우에도 대부분 ... ...
- [Culture] 과일잼&미역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아삭아삭하게 부서지는 질감이 펙틴 때문입니다. 과일이 덜 익었을 때에는 프로토펙틴 형태로 들어 있다가, 과일이 익으면서 펙틴으로 바뀝니다. 펙틴의 양이 늘어날수록 식감이 탱탱하고 아삭아삭하게 변합니다. 그러다가 과일이 완전하게 익으면 펙틴이 펙틴산으로 바뀌면서 오히려 ...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원리를 적용한 전자회로를 고안했다. 잡음과생체 전기신호를 측정한 뒤 잡음과 같은 형태의 전기 신호를 내부적으로 발생시키고 두 신호를 비교해 생체신호만 정밀하게 걸러내는 방식이다. 문제는 배터리였다. 전자칩을 작게 만들려면 배터리 크기를 줄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구동에 필요한 ... ...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같은 적절한 보상이 없이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반드시 암호화폐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이 정도의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는 보상이 있어야 발전할 수 있다. 관리 주체가 운용하는 비공개형 블록체인반면 비공개형 블록체인에서는 관리 주체가 합의 과정에 참여할 대상을 선정한다. ... ...
- 학종에서 좋은 평가 받는 동아리 활동 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끌어낼 수 있을지 고민할 필요도 있다. 자율 동아리 만드는 것도 방법동아리는 형태에 따라 정규(공식) 동아리와 자율 동아리로 나눌 수 있다. 정규 동아리뿐만 아니라 자율 동아리 활동도 함께 진행하면 비교과 활동 내역이 더욱 풍성해질 수 있다. 특히 두 동아리의 활동 내용을 달리할 경우, 각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다만 이때 각 조각은 바나흐-타르스키 역설에서처럼 넓이가 정의되지 않는 이상한 형태입니다. 넓이를 알 수 있는 조각으로 원을 나눠 정사각형을 만들 수는 없을까요? 2017년 3월, 이 질문에 대한 답이 수학계 최고 학술지 중 하나인 수학연보에 실렸습니다. 영국 랭카스터대학교의 루카스츠 ... ...
- [수학공작실] 플렉스칼레이도사이클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무한 반복의 대명사인 ‘플렉사곤’과 ‘칼레이도사이클’을 융합할 수 있을까? 새로운 형태의 플렉사곤 연결 구조를 통해 ‘플렉스칼레이도사이클’을 만들어 보자. 새로운 플렉스칼레이도사이클 플렉사곤은 1939년 영국 수학자 아서 스톤이 대학생 때 처음 발견했다. 친구인 미국 수학자 ... ...
- [과학뉴스] 이것이 진짜 ‘입체 홀로그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공기 중 부유입자의 움직임을 조종하면서 동시에 입자가 산란시킨 빛을 이용해 원하는 형태의 영상을 만들었다. 부유입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각도에서나 볼 수 있다. 약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정도의 부유입자가 픽셀 역할을 한다. 스몰리 교수는 “빛과 입자를 이용해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