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항공"(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로봇의 손가락을 만들 때 필요하답니다. 피부보다 더 예민한 인공피부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서갑양 교수팀은 대장에 나 있는 융털돌기를 흉내 내 누르거나 당기거나 비트는 자극을 느낄 수 있는 센서를 만들었어요. 과학자들은 근육이 수축하거나 이완되는 성질을 본떠 탄소나노튜브로 ...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뿜어져 나오며 급격히 팽창해 절대온도* 1K(영하 272℃)까지 차가워진다. 현재까지 미국항공우주국에서 관측한 기록 중 가장 온도가 낮은 곳이다.*절대온도 : 원자가 운동하는 에너지를 기준으로 측정한 온도다. 절대온도의 정의를 처음 만든 켈빈 경의 이름을 따서 단위를 K(켈빈)로 표시한다. ... ...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실험에 한창이다.가상현실에서는 이미 달착륙 ‘성공’연구팀은 2012년 12월, 전남 고흥군 항공센터에서 가상 달착륙 실험에 성공한 적이 있다. 인공적으로 만든 달 환경에서 탐사선의 추진장치에 실제로 불을 붙여 추진력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로켓에 불은 붙였지만 실제로 비행은 하지 ...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원래 1960년대 강화 유리로 개발된 제품이다. ‘근육 유리’라는 이름으로 자동차나 항공기 등에 쓰이다가, 2000년대 중반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재조명됐다. 기존 유리로 스마트폰을 만들면 쉽게 깨지거나 주머니 속의 동전이나 열쇠 같은 물건에 긁혀 흠집이 잘 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쓸 수 ... ...
- ➍ 서갑양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멀티스케일은 여러 가지 스케일(규모)이라는 의미입니다. 자연계는 단일 스케일이 아니에요. 나노단위부터 마이크로까지 다양합니다. 나무를 보면 굵은 줄기가 있고 작은 가지, 잎까지 각 스케일이 다 의미가 있죠. 곤충의 날개도 그렇고요. 이런 것을 연구하려면 멀티 스케일로 해야 하죠. 도마뱀 ... ...
- 밴 앨런 대, 알고보니 세 겹이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알려져 있던 ‘밴 앨런 대’가 세 겹으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은 작년 8월 30일 발사한 ‘밴 앨런 대 탐사선’의 측정 결과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 3월 1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밴 앨런 대’는 태양풍이나 우주선에 포함돼 있던 플라스마 상태의 ...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발사했다가 다시 지구로 귀환시키는 임무를 위한 연습용으로도 쓴다. 홍일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나로호경영팀장은 “미국이나 일본 같은 우주기술 선진국도 처음에는 사운딩 로켓을 이용해 시험하는 방식으로 경험을 쌓았다”고 설명했다. 로켓 기술도 마찬가지다. 로켓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 ...
- [체험] 각양각색 다각형의 무게중심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3호
- yn, zn), 그 무게를 w₁, w₂, … wn이라고 하면 비행기의 무게중심 (x, y, z)은 아래와 같다. 항공사에서는 승객과 화물이 수속을 완료하면 좌석 배치와 화물의 위치를 고려해 컴퓨터로 적절한 무게중심의 위치를 구한다. 이렇게 비행기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허용 범위 안에서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분리 배출까지!◀ 나로호의 이륙부터 위성 분리까지 전 과정을 묘사한 일러스트.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의 발사체체계실은 나로호의 설계부터 발사 과정을 계획하고, 비행 후 데이터 분석까지 담당한다. 발사체의 시작과 끝을 책임지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기자들이 항우연에 도착하자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150t급 항공기가 시속 360km로 충돌해도 단 5cm만 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교한 항공기보다 150배 이상 더 빠른 유성에 직격으로 부딪히면 누구도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운동에너지는 속도가 빨라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만약 서울 상공에서 이번과 똑같은 유성체(소행성)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