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발
파열
폭팔
격앙
넘쳐흐름
끓어오름
넘쳐흐르는 상태
d라이브러리
"
폭발
"(으)로 총 2,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핵실험 어떻게 이뤄질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핵
폭발
직후의 극히 짧은 순간을 찍어 관측소로 보내고 곧 파괴된다.06 지하에서 핵
폭발
이 일어나면 허물어진 암반 사이로 지하수를 타고 방사능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07 우라늄 연료봉이 원자로에서 연소된다.08 사용후 핵연료봉을 제거해 냉각수조에 보관한다.09 질산을 이용한 용매추출법으로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가장 큰 호수인 다나우 토바는 세계에서 가장 큰 화산 분화구다. 7만년전 마지막으로
폭발
한 이 화산 분화구(해발 901m)에 물이 고여 담청록색의 호수를 만들었다. 호수 가운데에 있는 싱가포르 만한 사모서섬은 푸른 절벽이 광활한 초목 지역을 에워싸고 있다. 지구에서 가장 큰 야생동물의 보고인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ethernet)을 발명한 미국의 밥 메트컬프는 ‘메트컬프의 법칙’을 얘기했다. 인터넷의
폭발
적인 확산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메트컬프는 네트워크의 가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참가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고 말했다. 회원 10명에 1명이 늘면 네트워크의 비용은 10% 증가하지만 네트워크의 가치는 11의 ... ...
오리온 성운의 화난 아기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얼마 안된 젊은 별은 성숙한 별보다 훨씬 더 강한 X선을 방출한다. 우리 태양의 가장 큰
폭발
에서 나오는 X선보다 훨씬 더 강한 규모다.젊은 별의 표면에서 강력한 불꽃이 일어나면서 X선이 생기는데 슈퍼 불꽃은 온도가 1억℃ 를 넘을 때도 있다. 태어난지 1000만년도 안된 젊은 별은 내부에 핵을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있는 점들이 서로 멀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 허블의 법칙이 우주가 하나의 점에서 대
폭발
을 일으켜 계속 팽창한다는 빅뱅 이론의 기초가 됐다.우주를 ‘미터’(m)와 ‘초’(sec)라는 공간과 시간의 기본단위로 잴 수 있다면, 디지털 우주는 ‘비트’(bit)와 ‘헤르츠’(Hz)라는 사이버 시공간의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별이 마지막 단계에서
폭발
하여 밝게 빛나는 것을 초신성이라고 합니다. 초신성이
폭발
할 때 지구에서 보면 갑자기 매우 밝은 새 별이 나타난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로는 새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종말을 맞이한 것이죠. 따라서‘가요계의 초신성’같은 말은 천문학적으로는 별로 좋은 뜻이 ... ...
빅뱅 직후 우주는 액체 상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대
폭발
)’직후의 우주가 액체 상태였다는 새 학설이 제기됐다.일본 도쿄대와 미국 브룩헤븐 국립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18일 미국 물리학회에서 이 같은 새 이론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0년 이후 가속기를 이용해 금의 원자핵을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정면 충돌시키는 실험을 계속해왔다. 이 ... ...
50년 안에 로봇 반란 일어날 수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나타났다.일어날 가능성은 낮지만 위험한 요소로 ‘염색체의 텔로미어 퇴화’와 ‘별
폭발
에 의한 우주선 폭풍’이 꼽혔다. 염색체 보호막인 텔로미어가 짧아지거나 없어지면 암, 치매 등에 걸리기 쉽다. 한 과학자는 인류의 텔로미어가 임계 수준까지 퇴화했다고 지적했다. 가장 일어나기 어려운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후 17년만인 2003년 컬럼비아호가 지구로 귀환하던 도중
폭발
해 NASA는 또다시 우주왕복선
폭발
이라는 망신을 당했다. 챌린저호의 교훈으로 부족했던 것일까 ... ...
폭발
물 탐지하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성능이 30배나 뛰어난 신물질이 개발됐다.미국 MIT 티모시 스웨거 교수팀은 TNT 같은
폭발
물을 탐지하는데 뛰어난 성능을 가진 물질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4월 14일자 ‘네이처’에 발표했다.이 물질에 자외선을 쬐면 안에 들어 있는 전자가 들떠서 빛을 낸다. 그러나 TNT가 신물질에 달라붙으면 빛이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