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때문에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 1호로 등록했을 정도로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19세기
초
파르테논 신전의 아름다움을 기하학적으로 밝히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습니다. 이후 파르테논 신전이 아름다운 이유가 황금비 때문이라고 소개하는 경우가 많았죠.그런데 1992년 조지 마코스키 미국 ... ...
수학자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땅 속 100m에 있다. 바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대형강입자충돌기(LHC)다. 양성자가 1
초
당 10억 번 충돌하도록 설계한 입자 가속기인 LHC는 1만 톤의 액체질소로 영하 193.2℃까지 냉각할 수 있으니 거대한 냉장고인 셈이다. LHC가 있는 터널의 총 길이는 27km이고, 지름은 약 3.8m다. 하지만 LHC 자체는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컴퓨터만 여러 대 있었다. 회사를 잘못 찾아온 게 아닐까 하는 느낌이 들기 시작했다.‘
초
’ 신선한 돼지고기를 식탁으로정육각의 CEO인 김재연 대표는 인터뷰를 시작하자 어떻게 해야 돼지고기를 맛있게 먹을 수 있는지 진지하게 설명했다. 그제야 회사를 잘못 찾아온 건 아니라는 안도감을 느낄 수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제하림이 태어났을 때는 신세계 호의 모든 사람이 주목하고 있었다.15년 뒤.삐릭~ 삐릭~몇
초
에 한 번씩 알림이 울렸다. 하림은 귀찮은 듯이 알림을 끄며 투덜거렸다.“세상 사람이 전부 내 생일을 안다는 것도 참 피곤하구먼.”신세계 호에서 제하림의 생일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해마다 축하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표현되던 세상이 무너지다견고한 철옹성 같은 2진법이 위협을 받기 시작한 건 20세기
초
미국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인 쿠르트 괴델이 ‘불완전성 정리’를 발표하면서부터였다. 수학자들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불완전성 정리의 골자는 ‘진리이지만 증명될 수 없는 수학적 명제가 있다’는 것이다.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측정하는 데 모두 이 방법을 썼기 때문이다. 우주가 가속팽창하는 것을 밝히는 데에도
초
신성 데이터가 이용됐는데, 만약 오차가 생각보다 훨씬 크다면 가속팽창이 사실이 아닐 가능성마저 제기된다(물론 아직까지는 많은 관측 증거가 가속팽창 우주모형을 뒷받침한다). 리스 교수팀의 결과가 맞고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선박. 내가 참가한 연구는 ‘Expedition 362’로 IODP 프로그램의 250번째 탐사였다(2000년대
초
에 또 하나의 IODP 소속 시추선이 일본에서 취역했고 유럽연합 소속의 시추선을 포함해 현재 총 세 대의 시추선이 운영된다).JR의 길이는 147m, 폭은 21m이고 해수면으로부터 시추탑의 높이가 62m에 달했다. 무엇보다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보자. 약속~!▼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시간의 기준을 찾아라!Part 1. 1월 1일, 1
초
가 늘어난다!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구축했다. 이것을 활용하면 어떤 RNA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찾는 PCR의
초
기 진행을 수
초
로 단축할 수 있다.구 교수는 “앞으로 조류인플루엔자와 돼지콜레라 등 동식물 바이러스에 맞는 프라이머 데이터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물질을 시험했다는 일화가 연상되는 우직한 방법이다. 하지만 성과가 있다. 예를 들어 1
초
를 주기로 자극 펄스의 강도를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하면 무언가가 손가락을 감싸 쥐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최근에는 벨크로나 사포 같이 거친 표면을 만지는 느낌이나 피부를 탁탁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