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편
단편
토막
새김질
조소
조상
새김
d라이브러리
"
조각
"(으)로 총 2,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곳에 위치해 있다. 아주 맑은 밤이라면 성운을 흐릿하게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은하수의
조각
인지 성운인지 구분하기가 어렵다.쌍안경이 준비되면 좀더 명확한 볼거리를 구경할 수 있다. 여름철 은하수는 쌍안경으로 훑어보기에 너무나 좋은 곳이다. 특히 독수리성운이 위치한 곳은 더욱 그렇다.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분해효소가, 오른쪽 부분을 감마시크리타제가 각각 자른다. 그러면 P3라는 작은 단백질
조각
이 만들어진다. P3는 현재까지 정확한 기능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독성은 없다고 알려져 있다.그런데 알파시크리타제 대신 베타시크리타제가 먼저 작용해 아밀로이드전구단백질의 중간이 아닌 왼쪽 ... ...
다양한 포도 색깔은 이동유전자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박사팀은 청포도와 연한 붉은색 포도의 안토시아닌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이동유전자
조각
이 끼어있어 유전자가 제대로 발현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유전자는 쌍으로 존재하는데 한쪽만 망가지면 색소가 소량 만들어져 로즈와인용 품종인 연한 붉은빛 포도가, 둘 다 망가지면 색소가 ... ...
페름기 대멸종 일으킨 충돌분화구 호주서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베두 분화구에 구멍을 뚫어 조사한 결과 강력한 충돌 때 생성되는 용융층과 소행성
조각
과 부딪칠 때의 충격으로 결정 구조가 바뀐 암석 등의 충돌 증거가 나타났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 분화구가 운석충돌에 의해 생긴 것인지 확인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분화구 생성연대는 대멸종과 ... ...
사스 백신 미국서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약화시켜 만든 재래식 백신과는 달리 플라스미드(plasmid)라고 불리는 바이러스의 DNA
조각
으로 만들어진다.이 백신을 체내에 주입하면 사스 바이러스의 세포 표면에 있는 것과 흡사한 단백질이 만들어지는데, 이 단백질이 면역 반응을 일으켜 면역력을 형성하게 된다.네이블 박사는 두 종류의 백신을 ... ...
개성만점 별난 나무목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정도로 치면 나무 가운데 최고의 약골이다.동남아에서 나는 마디카와 파독이란 나무는
조각
이나 수석 밑받침의 재료로 사용된다. 단단하지만 세공용 칼에는 잘 깎이는 성질 때문이다.목재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향이다. 특히 대표적인 종이 향나무다. 독특한 향기로 옛날부터 가구나 ... ...
마침내 다시 합쳐진 사자머리
조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조각
을 회반죽 주물로 떠 뉴캐슬대에 보냈다. 주물은 뉴캐슬대에 소장된 또다른
조각
과 거의 맞아 떨어졌다.밀덴버그 박사가 사망하자 그의 유언대로 반쪽짜리 사자머리는 세프톤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제이콥슨 일가도 나머지 반쪽부분을 박물관측에 기증해 결국 하나로 다시 합쳐질 수 있었다 ... ...
인간 19번 염색체 비밀 한국 과학자가 풀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1%를 분석하지 못하게 했다.임 교수팀은 대장균 대신 진핵생물인 효모를 이용해 유전자
조각
을 증폭시키는 방법(TAR)으로 1%의 염기서열을 알아냈다. 이 방법은 전문지 ‘게놈리서치’ 2월호에 소개된 바 있다.임 교수는 “19번 염색체에 4군데의 빈틈이 있었는데 이를 채우고 나니 뜻밖에 4개의 새로운 ... ...
9천년 전 최초 집고양이 유골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벽화나
조각
으로 볼 때 최초의 집고양이는 지금으로부터 5천여년 전 고대 이집트인이 사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제 고양이의 역사를 새로 써야할지 모른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5천년 이상 앞선 집 고양이 유골이 발굴됐기 때문이다.‘사이언스’ 4월 9일자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 ...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발굴의 비밀, 해인사 팔만대장경판의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 등 손톱 크기만한 나무
조각
하나를 붙잡고 현미경과 씨름하며 보낸 30년 세월이 오롯이 녹아있다.‘나무, 살아서 천년을 말하다’ 는 박 교수가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찾아낸 노거수(老巨樹)의 천가지 사연과 만가지 표정을 담은 책이다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