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백신에는 보통 살아 있는 균이 들어있기 때문에 2~8℃를 유지해야 돼요. 그래서 백신 전문 운송 차량으로 운반하지만, 도로 사정이 안 좋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주로 오토바이를 이용해요. 그러다 보니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워 백신이 변질되기 쉽지요.안성훈 교수팀은 오토바이의 발전기와 ...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현대 진화 이론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개념은 게임 이론이다. ‘진화 게임 이론’이라고 불리는 이 이론은 엉킨 타래 같은 진화의 까다로 ...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화심리학 전문가이며 현재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비를 타고’ 등 수많은 예술작품이 비에게 빚을 졌다. 탁월한 이야기꾼이자 환경전문 저널리스트인 저자가 “비는 지구의 혼돈 가득한 대기의 일부일 뿐 아니라 인류의 혼돈 가득한 자아의 일부”라며 “경전 속에서, 설형문자 텍스트에서, 쇼팽에 이르는 인간의 모든 표현 양식 속에서 서로 이어져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스페이스X는 100~500kg급의 소형 위성은 발사하지 않는다. 김 단장은 “소형 저궤도 위성만 전문적으로 발사하는 시장은 아직 가격이 높아서 일렉트론도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최근 들어 큰 위성보다는 작은 위성 여러 개를 군집비행 시키는 방식으로 개발 추세가 변하고 있어 소형 저궤도 ... ...
- [과학뉴스] ‘알쓸신잡’과 생물학적 호주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한 ‘알쓸신잡’이 인기입니다. 각 분야의 전문가 5인이 수다를 떠는 형식의 예능 프로그램인데요. 방송에서 제 귀를 사로잡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첫 방송에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생물학적으로 아이의 성은 아빠가 ... ...
- [과학뉴스] 치매 유전자 돼지로 신약 개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갖고 태어나도록 만든 것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특허 출원했다.이미 이전에 제약 전문업체인 얀센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유전자를 가진 복제돼지를 만든 바있다. 하지만 이 돼지는 APP 유전자만 지녔다. 제누피그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관련 있는 유전자를 3개나 가지고 있어 신약을 개발하는 데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떠올렸다. 유선전화와 스마트폰 통신 시스템 전문가였던 그는, 벤처기업 경영진이자 통신전문가인 선배 강수원 박사의 제안으로 자동차 통신 분야에 2014년 처음 발을 들였다.‘자동차에 웬 통신? 미래에나 가능한 기술 아닌가’라며 의아해 할 수도 있겠지만, 자동차는 더 이상 엔진의 힘만으로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피해가 의심되는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하면 보건복지부는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를 통해 120일 이내에 보상심의를 완료하도록 돼 있다. 이런 제도들을 통해 백신 접종 뒤 생기는 이상반응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국가가 안전을 보장한다.다른 의약품과 마찬가지로 백신도 부작용이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주변에 Y자 모양의 부스러기들이 잔뜩 있는데요. 항체인 것 같습니다. 미국의 피임약 전문 제약사 ‘에핀파르마’의 마이클 오랜드 대표는 정액응고 및 액화에 관여하는 ‘에핀’ 단백질을 수컷 보닛마카크 원숭이 9마리의 혈관에 주입했습니다.사정 이후 정액은 순간적으로 굳었다가, 다시 액체로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먹는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임산부 17명, 임신하지 않은 여성 8명, 남성 10명, 지역의 보건전문가 15명 등을 심층 인터뷰했다. 그 결과 흔히 알려진 것처럼 임산부는 임신 기간 동안 다양한 흙을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런데 토식증이 꼭 임산부에만 국한되는 건 아니었다. 임신하지 않은 여성과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