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나의 상상력이 인류의 미래를 좌우한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에세이 경연대회’를 개최해 왔다. 그런데 자문과 심사에 참여한 곽 교수를 비롯한 전문가들이 수상자 맞추기식 경연을 창의적인 연구 주제 제안 방식으로 바꾸자고 제안했고, 국립과천과학관이 이를 받아들였다. 올해 개최될 ‘2017 노벨상탐구 발표경연대회’는 연구하고 싶은 기초과학 주제를 ...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조합해서 만들 수 있는 숫자가 더 많기 때문에 암호를 예측하기가 훨씬 어렵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셀 수 없이 많은 난수(의사난수)를 만드는 방식으로 암호를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 방법은 세계에 있는 어떤 하드디스크로도 담을 수 없을 만큼 방대한 난수표로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살점이 붙어 있었다. 진원은 혈흔과 살점을 조심스레 채취했다. DNA 메틸화(61쪽 참고)의 전문가 Y 교수에게 분석을 의뢰했다.한 남자의 인 생을 바꾼 폴로셔츠2000년 뉴질랜드 북섬에 있는 작은 도시에서 잔인한 살인 사건이 일어났다. 집에 있던 한 여성과 7살 배기 어린 딸이 무참히 살해 당한 것이다.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기동방제과장은 “HNS가 바다에 유출됐을 때 이를 수습하려면 화학지식을 갖춘 전문인력이 해상과 육지에서 동시에 대응해야 한다”며 “이 때문에 해양경비안전서, 소방서, 환경부,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지자체, 군부대, HNS 취급 업체 등이 다 함께 훈련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훈련은 ...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말하는 승률은 이긴 경기 수를 전체 경기수로 나누는 승률과 다릅니다.미국 스포츠 전문 방송 ESPN은 각 팀의 전력을 분석한 데이터를 토대로 아직 치르지 않은 경기에서 각 팀이 이길 확률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물리학자 아르파드 엘로가 처음 만든 이 알고리즘으로 ... ...
- [과학뉴스] 치매 유전자 돼지로 신약 개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갖고 태어나도록 만든 것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특허 출원했다.이미 이전에 제약 전문업체인 얀센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유전자를 가진 복제돼지를 만든 바있다. 하지만 이 돼지는 APP 유전자만 지녔다. 제누피그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관련 있는 유전자를 3개나 가지고 있어 신약을 개발하는 데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극단적인 날씨가 먼 곳의 노출된 지형에 있는 사회기반시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전문가이다. 노르웨이 기상연구소와 노르웨이 전력 그리드 회사(Statnett)에서 근무했으며, 국제 프로젝트에 대한 폭넓은 경험이 있다.+ 더 읽을거리Svein M. Fikke et al., ‘Screaming Clouds’(doi:10.1002/wea.2786)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피해가 의심되는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하면 보건복지부는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를 통해 120일 이내에 보상심의를 완료하도록 돼 있다. 이런 제도들을 통해 백신 접종 뒤 생기는 이상반응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국가가 안전을 보장한다.다른 의약품과 마찬가지로 백신도 부작용이 ... ...
- 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문제를 풀 때 항상 점근 이론을 이용합니다.현재는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요?산업수학 전문 컨설팅 회사인 스미스연구소 수석 수학자로서 정부와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해 주고 있어요. 예를 들면 지진파를 이용해 석유가 매장된 곳을 효율적으로 찾는 방법과 레이더에 걸리지 않는 스텔스 ... ...
- [과학뉴스] ‘알쓸신잡’과 생물학적 호주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한 ‘알쓸신잡’이 인기입니다. 각 분야의 전문가 5인이 수다를 떠는 형식의 예능 프로그램인데요. 방송에서 제 귀를 사로잡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첫 방송에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생물학적으로 아이의 성은 아빠가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