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양도
이주
이사
천거
이식
전출
d라이브러리
"
이전
"(으)로 총 3,75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잘 수용할 수 있는 곳으로 바뀌었다. 물론 리스터의 소독법만이 이를 일군 것은 아니다.
이전
에도 많은 의사들이 청결법을 이용했고 수술 및 병원 환경은 점점 나아지고 있었다. 소독법이 일구어낸 것은 세균 전파를 막으면 더 나은 수술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약속, 즉 의학과 병원이 준 생명에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소년의 폐는 완전히 망가져 흐물흐물해져 있었다. 분석결과
이전
까지 인간이 감염된 적이 없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밝혀졌다. 소년은 공식적으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5N1의 첫 사망환자가 됐다.계절독감으로 익숙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 ...
돈 벌기 힘든 세상일수록 뜨는 학과가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그전까지 인간이 만든 총 데이터양보다 많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는 2012년을 포함해 그
이전
까지 만든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만들 것입니다.”조 교수는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요즘은 ‘빅데이터(big data)’라고 한다. 조 교수팀의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개체의 삶과 번식(재생산)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온 것입니다.
이전
에는 전체 게놈 중에서 유전자가 차지하는 부위가 크지 않고 대부분은 의미가 없는 DNA 뭉치 즉 ‘쓰레기(정크)’라고 생각했습니다. 쓰레기는 개체의 삶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니, 중립설과 잘 맞았습니다 ... ...
내 LTE만 느린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KT에게 할당되는 것은 특정기업만을 위한 특혜”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반면 KT는 “
이전
에 할당 받은 900MHz 주파수가 쓸 수 없는 ‘불량주파수’였던 만큼 꼭 우리가 받아야한다”는 입장이다.이정우 교수는 “만약 KT가 주파수를 할당 받으면 KT가 서비스하는 LTE가 타 통신사의 LTE-A보다 더 빨라질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다시 새로운 지역에서 화전을 개발했다. 이런 방식은 호랑이와 표범이 살아가는 공간을
이전
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잠식했다. 안 그래도 수전 때문에 숲으로 떠밀려 간 호랑이는, 천변보다 식생이 부족해 먹잇감의 밀도가 낮은 산 속 서식공간에서도 오갈 곳이 없게 됐다. 호랑이와 표범의 서식지가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그런 힘이 강한 것으로 유명했다. 하지만 자신을 규정하는 모든 관계의 기록을, 특이점
이전
의 용어로 말하자면 ‘기억’을 회복하는 것과 생존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였다.“머리를 열어 봐.”“어떻게 하면 되지?”어쩔 수 없이 미로의 사고회로 최상위에 얹혀 있는 기본 프로토콜을 불러냈다. 이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취재는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어려운 문제를 풀거나 수학을 응용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
이전
에 수학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수학의 아름다움!백창빈(성남 수내중 3)나는 이번 취재를 통해서 전에는 몰랐던 수학의 아름다움을 보고 느낄 수 있었다. 특히 ... ...
INFO - 우리는 어떻게 초끈이론에 이르렀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노력은 뉴턴에 이르러 마침내 고전역학이라는 이론으로 완성됐다. 하지만 기술이 발달해
이전
까지 보지 못했던 아주 작거나 큰, 아주빠른, 혹은 아주 먼 세계를 볼 수 있게 되면서, 고전역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그러자 다시 과학자들은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 ...
피 조금만 뽑아도 되는 초민감 센서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일정한 부피에 나노미터 수준으로 만든 아주 작은 센서들을 밀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전
까지는 검출할 수 없던 미량의 물질도 찾아낼 수 있다. 바이오센서 크기 전체가 작아지는 건 덤이다. 탄소나노튜브, 실리콘 나노와이어 같이 아주 작은 물질들이 나노바이오센서에 쓰인다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