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d라이브러리
"
융합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Ⅱ 원자탄이어 핵
융합
이용한 수소폭탄·중성자탄 등장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먼저 안쪽에서 원자 폭탄이 터져 방아쇠를 당기면 그 외각에서 중수소화리튬이 핵
융합
을 일으키고 곧바로 최외각에서는 우라늄이 핵분열을 일으킨다.수소폭탄은 원자폭탄보다 폭발력이 클뿐더러 방사선양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원자폭탄이 폭발하면 전체 에너지의 5% 정도가 초기방사선으로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동물의 경우 배양을 통해 식물처럼 완전한 생물체를 얻어내는 일은 어렵지만 세포
융합
기술은 상당한 발전을 보여 이미 많은 키메라가 만들어졌다. 그래서 이제는 카메라 동물이 신화 속의 괴물이 아닌, 우리가 원하면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종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얼룩고양이의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B세포는 배양기 속에서 증식시킬 수 없다. 그래서 B세포와 잘 증식하는 다른 세포가
융합
된 잡종세포를 만들어내어 그것을 증식시키면 B세포를 증식시킨 것과 마찬가지로 다량의 동일한 항체를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잡종세포를 하이브리드마라고 하고, 또 그것이 만들어낸 동일한 많은 항체를 ... ...
물질과 결합 핵
융합
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1g이 반물질과 만나면 어느 정도의 에너지가 발생할까. 최소한 핵분열에너지의 1천배, 핵
융합
에너지의 수백배는 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핵분열도 우라늄 일부 질량이 에너지로 전화됐다고 할 수 있는데 핵분열 전의 우라늄 질량은 분열 후의 핵파편 질량보다 1천분의 1정도 무겁다고 ... ...
과학자만이 맛볼 수있는 지적흥분의 희열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국경선으로 드는 광경에서 고향 생각을 떠올렸다. 그러면서도 이들 두개의 궤도가 하나
융합
됐을 때의 상황을 구상해보곤 했다.그러던 중 지금까지의 골몰을 종식시킬 한 생각이 떠올랐다. 이루 말로 표현못할 뿌듯한 보람의 순간이었다. 처음 체험하는 과학자로서의 지적 흥분을 누리는 순간은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내에서의 수정을 거쳐 개체로 발생된다. 따라서 염색체의 개수가 틀릴 경우 불완전한
융합
으로 발생의 빈도가 낮아진다. 설사 DNA이중나선의 집합체이자 운반체인 염색체의 수가 같다고 하더라도 상보적인 DNA 재결합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그 결과 대표적인 역의 효과로 나타나는 것이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탄소로 변한다. 점점 무거운 물질로 변하다가 니켈이나 철의 단계에 이르면 더이상 핵
융합
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중력의 응축력을 견딜 수 없어 중심부가 함몰하면서 외곽으로는 대폭발이 일어나며 중심부에서는 양성자가 전자를 흡수해 중성자로 변한다. 이 상황, 즉 초신성 폭발은 아주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대부분 수소 분자로 결합되어 있다. 별은 대폭발이 일어날 때 생긴 수소를 사용하여 수소
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주된 장치이다. 우리 은하계는 5천여개의 이러한 거대분자 성운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에서 우리에게 가장 가까이 있는 것이 오리온 성운이다.최근 오리온 성운의 북쪽에 있는 별이 새로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진화에 따라 달라진다. 별은 태어날 때 지니는 물질의 구성성분과 질량에 따라서 핵
융합
반응의 종류와 임종의 모습이 결정된다. 이러한 진화를 물리적 진화라 한다.한편 별들은 하나씩 따로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커다란 집단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별들은 서로간에 중력조우(그림1)에 의해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뒤섞이지 않도록 여러 생식격리기구를 발달시키고 있다. 이 장벽을 인위적으로 깨고
융합
시켜도 복잡하게 관계되는 유전자의 제어시스템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라는 게 그의 말이다. 유전공학에서 두개의 생물체의 유전자를 섞었을 때는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