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기자는 ‘바이오이종장기연구센터’라는 푯말아래 외부인이 출입할 수 없게 잠겨 있는
유리
문 앞에서 순간 당황했다. 다행히 바로 뒤에 엘리베이터가 열리고 안규리 교수 모습이 보인다. 막 회진을 마치고 약속 시간에 늦을까봐 서둘러오는 길이란다. 안 교수는 3년 전 ‘황우석 파동’으로 곤욕을 ... ...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미국물리학회에서 발간하는 월간지 ‘피직스 투데이’ 1982년 5월호. 그 잡지 한 권이 그의 삶을 통째로 바꿔 놓을 줄 누가 알았을까. 당시 그는 서울대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고체물리 ... 새로운 분야를 공부하고 연구할수록 원천기술과 거기서 파생한 핵심기술을 개발하는데
유리
하다 ... ...
등심, 안심, 우족 맛이 서로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맛, 바로 ‘감칠맛’이다. 혀끝에 감기는 감칠맛의 주인공은 염의 형태로 존재하는
유리
아미노산인 글루타민산나트륨(MSG)과 핵산관련물질인 이노신산(IMP)이다.쇠고기가 포함하고 있는 글루타민산나트륨은 감칠맛을 내는 효소 작용을 돕고 당과 혼합해 고소한 향을 만든다. 이노신산은 쇠고기가 ... ...
얼음으로 만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수는 없겠지? 우리도 직접 얼음조각을 해 보기로 했어. 목표는 얼음잔! 투명하고 예쁜
유리
잔을 만들기 위해 직접 조각칼을 집었단다. 우리 실력을 한번 보라고~!직접 해 보니 보기와 달리 매우 어려웠어. 잘못하면 생각보다 깊이 깎이거나 얼음이 깨져 버리기 쉬웠지. 그래도 우여곡절 끝에 예쁜(?) ... ...
다시 보는 현대판 비글호 항해기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권 박사에게 응원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벌써 권 박사를 응원하는 메시지가 한쪽 벽과
유리
병을 가득 채우고 있다. “박사님, 항해 조심하시고 안전히 다녀오세요. 많은 물건도 채집하시구요.” “박사님, 다윈 박사님이 비글호를 타고 여러 모험과 신기한 것들을 수집해 역사적인 ‘종의 기원’이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우주 탄생 장면 본다?후발주자들은 케크 망원경과 달리 조각거울이 아닌 한 장의
유리
로 된 반사경을 채택했다. 유럽은 칠레에 구경 8.2m 망원경 4대를 설치하는 VLT(Very Large Telescope)계획을, 미국은 6개국과 함께 하와이와 칠레에 각각 8.2m 망원경을 하나씩 설치하는 제미니 천문대 계획을 추진했다. ... ...
[물리] 운동은 상대적이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차가운 창으로의 전도 과정을 거쳐 열전달이 일어난다. 따라서 창을 이중으로 만들면
유리
창의 절연 값은 정체된 공기의 얇은 경계층에 의해 결정되고 공기의 열전도도는 아주 작으므로 이중창은 훌륭한 절연체가 될 수 있다.2) 검은 겉옷은 흰 겉옷보다 더 많은 복사열을 흡수하고 더 많은 복사열을 ... ...
[수 학]수열의 신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공리는 실수에는 빈틈이 없다는 뜻이다.
유리
수의 경우 아주 작은 구간에 무수히 많은
유리
수가 존재하지만 그들 사이에는 무리수라는 무수히 많은 빈틈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런 빈틈이 실수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실수의 완비성 공리를 수열을 이용해 설명하면 ‘실수로 이뤄진 증가하는 수열의 ... ...
회전하는 물의 표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쪼이면 뚜껑이 느슨해지면서 쉽게 열린다. 뚜껑 온도가 올라가면서 금속 뚜껑이
유리
그릇에 비해 더 팽창하기 때문이다. 열팽창 현상은 뜨거운 여름철 늘어나 휘어지는 철로처럼 항상 바람직하진 않다. 온도 변화에 따른 열팽창은 단위온도 변화에 대한 길이나 부피 변화비로 나타낸다. 이를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사이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생겨나고 이로부터 복잡한 즉 더 고등한 동물이 나오기
유리
하오. 아메바 같은 단세포생물이 다세포생물로 진화할 때도 유전자복제가 대량으로 일어났다고 하오.나는 이들 발견이 대단하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소. 하지만 한편으론 이들이 나의 진화론에 얼마나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