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
말소리
국어
랭귀지
language
어학
언어학
d라이브러리
"
언어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세계는 왜 중국을 두려워하는가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공통적인 생각이다. 사람이 많아 힘이 센 나라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
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영어라고 답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정답은 중국어다. 12억이 넘는 인구는 ‘먹여 살려야 한다’ 는 경제적 부담감과 누구도 제공해 줄 수 없는 맨파워라는 상반된 두가지 ... ...
3. TV로 인터넷을 인터넷으로 TV를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예는 셋톱박스를 이용해 인터넷 정보를 텔레비전에서 보려는 것이다. 셋톱박스란 상이한
언어
(프로토콜)를 사용하는 두 장치가 서로의 정보를 알아들을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시키는 장치. 마쓰시타, 소니 등 이름만 들어도 아는 가전회사들이 이미 셋톱박스의 개발을 거의 완료하고 ‘늦어도’ 올 ... ...
2. 중국과학기술대학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중국과기대를 택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학생이 중국과기대에서 공부하는 것은
언어
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두명뿐. 합비시 전체로도 한국인은 열손가락 안에 든다.영재반 12억중 40명 선발무엇보다도 중국과기대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어린 천재들이 모인 영재교육반(Special Class for Gifted Young). 1978년 ... ...
1.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에 봉사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컴퓨터와 나누는 대화는 한정된 수의 단어 내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몇만 단어 수준의
언어
를 인식하는 컴퓨터가 개발될 때까지 기다린다는 것은 의미없는 일이다.기계나 컴퓨터와의 대화를 통한 생활의 편리성 추구와 인간중심의 생활영위는 멀리 있지 않다. 중요한 것은 기계나 컴퓨터 등 ... ...
전설적인 해커, 아브락사스 방랑기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한국과학기술대(현재는 KAIST 학부과정)에 입학하면서 알기 시작했다. 첫 학기 과목으로 C
언어
를 들으면서 접한 유닉스 시스템은 처음으로 다뤄보는 멀티프로세싱 시스템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한 컴퓨터를 공유하면서 정보교환을 할 수 있다는 점은 나를 매료시켰다.친구들과 함께 유닉스를 ... ...
96일본 청소년과학제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열심히 실험에 참여했고 모두들 재미있어 했다. 하지만 웬지 딱했다. 한국 청소년들이
언어
가 통하지 않는 이국에 와서 과학을 배워야만 하는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 청소년들이 과학제전과 같은 과학탐구학습 현장에 참가할 수 있게 된 것도 그리 오래된 일은 아니다. 청소년과학제전은 ... ...
아들 지능 엄마가 물려준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고 말하면서 “남성이 여성보다 지능 편차가 심하며, 남자는 수학과 운동능력, 여성은
언어
능력에서 우월하다는 것은 이미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고 주장했다. 터너 주장의 핵심은 지능유전자가 존재하며 그 유전자는 성역샘체의 하나인 X염색체에 포함돼있다는 것이다. 그 근거로는 ... ...
홈소프트웨어와 인터넷의 결합 교육정보화 완성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하는 요소중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은 대부분의 정보가 영어로 돼 있는 것에 따른
언어
장벽이다. 인터넷을 보면서 영어를 바로 한글로 번역하여 보여주는 프로그램들이 나오고 있긴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아직은 번역 기술도 완전하지 않아서 큰 효과가 없는 편이다.또 회사에서 네트워크로 ... ...
2. 인터넷은 신종직업 인큐베이터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존재하는 만큼 네트워크 통신분야의 전반적인 지식도 필수이며, 실무적으로는 웹
언어
인 HTML을 능숙하게 다룰 줄도 알아야 한다.한편 이들 웹디자이너의 영역에서 한부분만을 떼어내 인터페이스만 담당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이너도 있다. 일종의 전문화된 웹디자이너인 인터페이스 디자이너는 ... ...
능란한 화술, 지능적 의사소통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간단한 화학단어들을 적절히 조합해 만들어 낸다. 이는 인간의 전유물로 생각하기 쉬운
언어
의 기본적인 구조를 갖춘 엄연한 의사소통 수단이다.후각뿐 아니라 청각과 촉각도 개미의 의사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최근 20여년 간 활발한 연구로 상당히 많은 종의 개미들이 소리를 내서 의사를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