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준별 수학 교과서가 도입되는 이유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여기서 정확한 계산이 필요하면 먼저 머리로 계산하는 ‘머리셈(속셈)’을 한다. 그런데 숫자가 크거나 복잡해 머리셈이 어려울 때는 종이와 연필을 이용해 써서 하는 ‘필산’으로 계산한다. 이처럼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계산에서 어림셈, 머리셈, 필산의 순서로 가르치고, 마지막에 ... ...
- Part 1. 날개 접었다 폈다, 출퇴근용 변신 비행기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보급하는 사람들, 식사를 하고 싶은 사람들은 이곳에 들른다. 스카이하이웨이 이용객 숫자가 많아 이착륙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에도 일단 이곳에서 대기한다.“귀하의 목적지는 ‘인·천·공·항’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대기시간 없이 바로 이륙이 가능합니다. 지금 이륙하시겠습니까?”정미 ... ...
- PART 3 맞춤형 자전거를 찾는 6계명수학동아 l2011년 03호
- 펴지게 하진 않는다. 다리가 완전히 펴지면 페달에 힘을 주기 힘들기 때문이다.자전거의 숫자는 ‘15’사람은 편한 속도로 걸으면 하루 종일 걸을 수 있다. 자전거도 편한 속도로 달리면 하루 종일 탈 수 있다. 이때의 속도가 바로 시속 15km다. 사람이 땅을 걷는 정도의 힘으로 자전거를 굴릴 때 나오는 ... ...
- π데이 즐기는 10가지 방법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음이 연주되는 멋진 곡을 만들 수도 있다(avoision.com/experiments/pi10k). 그리고 0부터 9까지의 숫자에 각기 다른 색을 부여한 뒤, π의 자릿수에 해당하는 색이 칠해진 구슬이나 조각을 끼운 목걸이를 만드는 행사도 열 수 있다.이처럼 π의 원리와 개념, 역사를 기본으로 하고 행사로서 의미를 살릴 수 있는 ... ...
- “학생이 수학으로 행복해지는 그날까지”수학동아 l2011년 03호
- 그날을 기대하며 준비했다”고 말했다.“연수라기보다 소통의 장” 이번 MF에서는 숫자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외국 책 ‘Number Freak’ 안에 숨어 있는 수학적인 의미를 소개한 강좌, 비판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수학 수업, 페그퍼즐을 이용해 진행하는 수학 영재 수업, 음악과 수학, 중학교 체험수학 ...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1보다 큰 수 중에서 1로 끝나는 수를 ‘행복한 수’로 정의했어.예를 들어, 19라는 숫자를 살펴볼게. 19는 십의 자리가 1, 일의 자리가 9야. 12과 92을 더하면 82가 돼. 다시 82과 22을 더하면 68이 나오지. 이렇게 반복하다 보면 결국 1로 끝나니 19는 행복한 수야. 지금 바로 행복한 수를 찾아보렴. 몇 가지 ...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크림전쟁이라 불린다.] 알기 쉬운 도표로 어려운 통계를 설명하다나이팅게일은 복잡한 숫자들이 나열된 통계를 사람들이 잘 이해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통계를 이해하기 쉽게 그림(도표)으로 보여줬다. 나이팅게일의 장미 도표(Rose diagram, coxcomb)는 위생 개선 사업의 극적인 결과를 ... ...
- 알파벳에 숫자 넣기과학동아 l2011년 02호
- Q 다음 식은 수식을 만드는 숫자들을 알파벳으로 바꿔 나타낸 것입니다. 수식의 각 기호들은 0~5 사이의 자연수이며, 같은 기호는 같은 숫자를 의미합니다. 등식이 성립할 ... 각 기호는 0~9 사이의 자연수이며, 같은 기호는 같은 숫자를 의미하며, 다른 기호는 같은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 ...
- 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충남북, 경북도 심각하다. 그래프 아래 숫자는 사육하는 소와 돼지의 마릿수고 괄호 안 숫자는 살처분한 마릿수다.]구제역 확산 현황지난해 11월 28일 경북 안동에서 첫 신고된 구제역이 50여 일 동안 파죽지세로 퍼지면서 가축 220만여 마리가 살처분됐다(1월 20일 현재). 소의 경우 337만여 마리(지난해 ...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법칙’이라고 부른다.랜체스터 법칙은 지금도 유효하다. 세계 각국에서 전투기 숫자를 한 대라도 더 늘리기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하는 이유다. 하지만 수십 년간 지켜졌던 이 절대적인 법칙에 최근 예외가 생겼다. ‘스텔스 전투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스텔스 전투기를 타고 있다면 적군의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