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글자를 홀로그램으로 만들 수 있는 ‘홀로그램 메이커’도 인기다. 과학 시간에 빛의 반사와 굴절을 재미있게 가르치기 위해 만들었지만, 학생들이 홀로그램의 원리를 이해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학생들이 워낙 재미있어해서 수업시간과 특별활동 시간에 활용 중이다. 유일하게 앱 이름이 영어라서 ... ...
- [과학뉴스] 빨리 마르는 19세기 물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그림은 19세기 영국 화가 윌리엄 터너의 라는 작품이에요. 그는 빛과 색채를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해 새로 개발한 유화 물감으로 그림을 그렸어요.당시 유화 물감은 보통 씨앗의 기름과 안료를 갈아 만들었어요. 하지만 마르기까지 너무 오래 걸려서 하나의 그림을 ...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갈색왜성이 태양계 근처를 지날 때다. 갈색왜성은 목성보다는 무겁지만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천체다. 갈색왜성 정도 크기의천체도 강한 중력을 가져 오르트 구름을 뒤틀리게 할 수 있다.△땅보다 바다가 조석력에 큰 영향을 받는 이유는바다가 쉽게 모양이 변하기 때문이다.오르트 구름도 ... ...
- [DJ CHO의 롤링수톤] 외계인의 친구, 지기 스타더스트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수 있다는 것이지요.계산 결과 일 년에 한 번, 약 10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30메가와트의 빛이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과연 지구를 숨겨야 할 날이 올까요? 우주인의 노래 ‘스페이스 오디티’…지상 통제팀이 탐 소령에게 전한다. 지상 통제팀이 탐 소령에게 전한다. 단백질 알약을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번 화에서는 적응과 자연 선택을 이야기할 때 사람들이 가장 쉽게 저지르는 오해 하나를 짚고 넘어간다. 바로 적응에 대해서다. 먹잇감을 앞에 두고 태연 ... 탐구를 기능하게 한 그는 ‘적응과 자연 선택’을 이렇게 마무리했다. “나는 자연 선택 이론이 빛이요, 길임을 확신한다(280쪽) ... ...
- [쇼킹 사이언스] 알록달록 무지개 산이 있다?! 단하지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많이 섞인 퇴적층은 노란색이 됐고, 해양에서 발견되는 ‘해록석’이라는 광석은 푸른빛을 띠는 퇴적층을 만들었답니다. 이 퇴적물들은 오랜 기간 동안 케이크처럼 층층이 쌓여갔어요.하지만 히말라야 산맥이 이 케이크를 위로 솟게만들었답니다. 히말라야 산맥은 섬이었던 인도가 7000만 년 전에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신호를 보내면 그중 일부가 스마트폰의 수신기에 들어간다. 신호가 이동한 시간에 빛의속도 초속 30만km를 곱하면 수신기까지 거리 r1을 알 수 있다. 인공위성에서 r1만큼 떨어진 점을 모두 이으면 오른쪽 그림처럼 구 모양이 된다.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두 개의 인공위성에서 각각 r2, r3만큼 떨어진 ...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下 예술이 된 광물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티타나이트(왼쪽 큰 사진)가 그 주인공이다. 다이아몬드에 비해 상대굳기는 약하지만, 빛을 분산시키는 특성이 뛰어나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 현란한 광채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보석의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다. 티타나이트라는 이름은 1982년 국제광물협회에서 정했다. 원래 티타나이트는 ... ...
- [Culture] 플레이 전략 3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나타난다. 잔뜩 긴장한 채 손가락으로 볼을 날린다. 볼은 세 번쯤 부르르 떨더니 황금빛 별을 쏟아내며 ‘콘치를 잡았다’고 알려준다.포켓몬을 잡으려면 볼로 타깃을 정확하게 맞혀야 한다(물론 게임 설정 상, 다 잡은 녀석이 볼 밖으로 도망칠 때도 있다). 하지만 원을 살짝 빗맞았을 때도 잡힐 때가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빛을 띠는 흙탕물이 피오르드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이런 흙탕물은 표층에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고, 영양염 공급에 변화를 주면서 피오르드의 생물 생태계를 크게 변화시킬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떠내려가는 회의론 기후변화는 왜 사실인가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