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죽음의 백색 왜성을 돌고 있는 생존 행성 최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날아와 WD 1856+534 근처를 지나다 강한 중력에 잡혀 공전하게 된 것으로 추정해요. 이번 발견은 백색 왜성 근처에 행성이 멀쩡히 살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밝힌 첫 예외 사례예요. 연구팀은 “외계 행성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고 태양이 백색 왜성이 됐을 때 지구도 WD 1856 b처럼 특정한 조건에서는 ... ...
- [헥!헥!핵물리학자] 눈에도 안 보이고, 내 몸도 통과한다고? ‘유령입자’ 중성미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혼란스러운 일이었어요. 질량과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법칙이 틀리지 않았다면,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입자가 나와 전자가 차지했어야 할 운동에너지 일부를 빼앗았어야 했어요.파울리는 후자가 맞을 거라 생각해 전하를 띠지 않고 쉽게 찾을 수 없는 입자가 있을 거라 예측했어요. ... ...
- [한 장의 과학] 원자외선 오로라가 반짝반짝! 혜성에서 최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핵을 둘러싼 가스와 태양의 플라즈마 입자가 상호작용하며 만들어낸 원자외선 오로라를 발견했지요. 이러한 상호작용 과정은 지구의 오로라와 비슷하지만, 혜성은 자기장이 없어 오로라가 사방으로 퍼지는 모양이 특징이에요. 그리고 혜성 오로라는 지구의 오로라와 달리 맨눈으로 볼 수 없어요. ... ...
- [진흙] 어디어디 숨었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알갱이가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이에요. 연구팀은 이 암석에서 탄소, 수소, 산소 등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화성에 한때 생명체가 있었을지 모른다고 추측했답니다.또한, 화성 매리너 계곡 곳곳에는 용암이 흐른 것처럼 보이는 지형이 있어요. 화성 전체엔 이런 지형이 수만 개가 ... ...
- [진흙] 생물이 바글바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또, 이 미생물에게 산소를 공급하지 않았을 땐, 미생물이 증식하지 않았지요. 이는 발견된 미생물은 산소가 있어야만 생존할 수 있다는 의미예요.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김진욱 교수는 “남태평양 환류 지역은 퇴적물이 매우 천천히 쌓이는 곳이라 물속의 산소가 퇴적층에 조금씩 침투했을 ... ...
- [과학뉴스] 사막에서 새로운 갑각류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자연사박물관의 호세인 라자이 박사팀이 루트 사막 남부에 있는 작은 호수에서 발견했지요. 연구 결과, 이 생물은 민물 갑각류인 팔로크립투스(Phallocryptus)속에 속하는 신종이었어요. 연구진은 이 갑각류가 호수에 물이 없을 땐 마른 침전물 속에서 몇십 년간 살 수 있으며, 우기에 호수에 물이 차면 ... ...
- 하니가 옛집으로 돌아온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망치로 두드려 녹슨 문을 열고, 이 문 쪽으로 하니를 몰았어요. 그제서야 열린 문을 발견한 하니는 껑충 뛰어 얼룩말사로 들어갔습니다. 얼룩말사에 있던 향미와 동백이는 어디 갔다 이제 들어왔냐는 표정으로 하니를 바라보았어요. 시간이 지나면서 하니의 표정도 한결 편안해 보였지요.며칠 전만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쉿! 보물 숨길 곳이 필요해? 다이얼 금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이후에도 꾸준히 사용돼 구리에 니켈 등을 섞은 백동 등 다양한 소재의 자물쇠 유물이 발견됐지요.현대에 들면서 과학기술이 발전해 잠금장치의 형태도 점차 진화하고 있어요. 이제는 우리의 몸이 자물쇠를 풀 열쇠가 되었지요. 정맥, 홍채, 지문, 망막처럼 우리 몸의 특징이나 걸음걸이, 음성 등 ... ...
- [진흙] 지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생물을 관찰하거나 갯벌 생태계에 해를 입히는 위험요소들을 모니터링하지요. 생물을 발견한 시간, 장소, 날씨, 기온을 기록해요. 이 자료는 훗날 갯벌을 지키기 위한 대책을 찾는 방법에 활용될 예정이지요. 미래 세대들이 갯벌을 비롯한 자연의 소중함을 깨달았으면 좋겠어요. 갯벌키퍼스에 꼭 ... ...
- [헬라세포] 위대한 유산을 남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헨리에타 랙스를 죽인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일으킨 것이었죠. 이 발견으로 하랄트 추어 하우젠은 200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해요.생물학자들은 헬라세포를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물론,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을 일으키는 HIV, 홍역, 지카 등 다양한 바이러스에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