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표
의도
취지
표적
대상
동기
비젼
d라이브러리
"
목적
"(으)로 총 3,704건 검색되었습니다.
520일간 떠나는 모의 화성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디 피포 ESA 유인우주비행국장은 “화성이야말로 유인 우주 탐사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적
지”라고 말한다. 달 이외에는 지구 밖 천체에 발을 디딘 일이 없는 인류에게 화성이야말로 장거리 우주여행의 가능성을 열어줄 최적의 장소이기 때문이다.ESA는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의 한 시설에서 유럽과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모인 미래의 우주인들과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인 우리를 태운 버스는 첫 번째
목적
지인 송암천문대를 향해 출발했어.우주를 꿈꾸는 우린 모두 친구!꿈나무 우주인들이라면 우주에 대해 아는 것은 기본! 우리는 밤하늘의 별들을 그대로 재현하는 천체 투영관에서 함께 누워 별자리 이야기를 ... ...
공간을 가득 채우려면 사면체로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상자의 76%를 채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수치는 원래 공간을 촘촘하게 채울
목적
으로 만든 도형보다 더 높은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공 모양으로 상자를 채운다면 상자의 64%만을 채울 수 있었습니다.연구팀은 이 상자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해 사면체 주사위가 채워지는 구조를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19년 전인 1991년. 서해안의 동진강과 만경강의 하구를 막아 농경지로 쓸 땅을 간척할
목적
이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있는데, 19년 동안 지어진 방조제는 서해안의 지도를 바꿔놓았다. 서울의 3분의 2 면적인 401km2의 바다가 국토가 됐고, 새만금의 하구 갯벌은 사라졌다.환경단체에서는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처음에는 과학자들도 거의 호기심 충족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딱히 어떤 중요한
목적
에 쓰일 것이라는 생각을 하기도 힘든 분위기였다. 게다가 연구과제도 투명망토와 전혀 상관이 없었다.메타물질이 투명망토와 인연을 맺은 건 2004년 펜드리 교수가 농담 삼아 한 말에서 비롯됐다. 당시 펜드리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배경 기술에는 발명하게 된 동기를 자세히 적는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는 발명의
목적
을 적고, 과제의 해결수단에 아무 내용이나 한 줄만 써도 된다. 발명의 효과란에는 아이디어가 낼 수 있는 효과를 적고 도면이 있으면 각 도면마다 간단한 설명을 한 줄씩 적는다. 무엇보다도 발명의 상세한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노선도는 지하철이 움직이는 선을 그대로 축소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지하철 노선도는
목적
지까지 가려면 몇 정거장을 더 가야 하고 어디서 갈아타야 하는지만 알려 주면 될 뿐 선의 모양이나 방향이 바뀌어도 상관 없다. 이런 경우 두 지하철 노선도를 가리켜 위상이 같다고 한다.푸앵카레의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김정한 소장은 “뇌과학계에서 응용수학을 폭넓게 사용하게 하는 것이 앞으로의
목적
”이라고 설명했다.학회 마지막 날 비공개로 열린 토론에서 양 진영의 불꽃 튀는 의견이 오갔다는 후문이다. 앞으로 두 진영이 커넥톰 연구에 어떤 성과를 낼지 궁금하다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잠재적 총량과 사용가능한 능력을 분석해 순위를 매겼다. 연구결과, 전력 생산이라는
목적
에 국한될 경우 가장 경쟁력 있는 신재생에너지는 풍력이었다. 풍력은 발전기 생산과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적었다. 물 사용량과 수질오염도 가장 적은 편이다. 특히 풍력발전기를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연구는 폐수나 폐기물을 처리하면서 동시에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의 실용화를
목적
으로 진행되고 있다. 폐수처리 시설이 소모하는 전력의 일부를 미생물연료전지로 공급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최근 호주에서는 중형 규모의 미생물연료전지를 구축해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