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보기
model
모범
모형
견본
귀감
전형
d라이브러리
"
모델
"(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작은 부분이 활성화된 것이 제대로 측정되지 않았을 수도 있고 학자들이 만들어낸 실험
모델
이 불완전했을 수도 있다.따라서 디오니소스적 사랑과 아폴론적 사랑의 차이에 관해서는 인문학자뿐 아니라 뇌과학자들도 당분간 결론을 유보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볼레로러시아의 여배우이자 무용가인 ... ...
위암·간암 실체를 벗긴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병원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많은 임상 데이터를 모으고 있다. 또 효모와 생쥐 등 동물
모델
을 이용해 유전자의 기능을 추적하고 있다. 이 결과를 분석하면 암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결정적인 유전자들을 선별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이들의 활동을 조절하는 신약을 설계하는데 큰 도움이 될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통해 건축기술과 에너지기술이 조화를 이룬 최적의 설계안을 끌어냈다. 또 지어질 건물
모델
과 에너지 절약 기술을 토대로 에너지 자립도도 예측해냈다. 지금까지 서로 알력관계에 있던 건축가와 에너지 전문가가 조화를 이뤄 만든 합작품인 셈이다. 이는 21세기 건축이 지향해야 할 큰 방향이다 ... ...
인공피부 발명한 화장품 글로벌기업 로레알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또한 피부의 노화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인종별 3D 피부 노화
모델
’ 도 만들었다. 1백40개국에 진출한 로레알은 인종과 개인에 맞는 화장품을 개발하는 현지화 정책을 펴, 지난해 말 시카고에 인종에 따른 피부와 모발의 편차를 연구하기 위한 연구소도 열었다. 이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게오르기 부즈사키 박사가 주장한 2단계 기억
모델
로 상반된 실험결과를 설명했다.이
모델
에 따르면 장기기억은 뇌 해마와 신피질 사이의 쌍방향 통신으로 형성된다. 깨어있을 때는 새롭게 획득된 지식이 해마로 전달돼 임시로 보관된다. 이때는 아세틸콜린의 분비량이 높아야 한다. 이에 비해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수식으로 만들어 컴퓨터에 입력해 실제 세포와 비슷한 환경을 만든 프로그램 또는 가상
모델
이를 이용하면 어떤 약물을 주입하거나 조건을 변화시켰을 때 실제 세포에서 일어날 반응을 실험하지 않고도 컴퓨터만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생물학 분야의 수많은 반복실험을 대체하는 효율적인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반면, 동북일본은 대략 2천만-1천2백만년 전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했다.하지만 이
모델
은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확장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는 점, 일본열도와 대륙조각들을 복원했을 때 일부분이 겹쳐진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동해 해저 시추 결과 동해 확장 초기에 형성된 화산암의 ... ...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감각뉴런의 시냅스를 강화시켜 자극 정보를 오래 기억하게 한다.기억 연구의 또다른
모델
인 시냅스 강화는 전기신호가 시냅스에 충분히 전달돼 시냅스의 강도가 향상되는 현상이다. 이때는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일종인 NMDA 수용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NMDA 수용체에 NMDA가 결합한 후 열린 통로로 ... ...
투명물고기가 공생비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길이 1cm의 조그마한 물고기가 동물과 미생물의 공생관계를 밝히는데 첨병이 되고 있다. 미국 워싱턴의대 제프리 고돈 교수팀은 다 자라기 전까지 몸이 투명 ... 금방 자라는 제브라피시는 동물의 발생에 미치는 박테리아의 유익한 효과를 연구하는데 최적의 동물
모델
” 이라고 말했다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마치 자가 접히는 모양과 유사하다고 해서 ‘접힘자’
모델
이라고 한다. 1992년 이
모델
이 국제지질학술회의에 처음 발표됐을 때만 하더라도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 당시에는 작은 한반도에서 그렇게 극적이고 엄청난 사건이 있었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그러나 그 후 이를 지지하는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