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1. 도전! 나만의 시계 만들기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직사각형 변과 만나는 점을 각각 눈금 4, 5로 표시한다. 왼쪽에도 대칭이 되도록 같은 높이의 눈금 7, 8을 만들어 주면 해시계의 눈금이 완성된다. ⑥ 눈금으로 완성된 부분을 굵은 사인펜으로 한번 더 칠해주는 것도 좋다. 해시계의 바늘이 되어줄 그노몬은 우리가 ②번에서 만들었던 삼각형 FOE와 ... ...
- 바스켓을 흔드는 수학수학동아 l2011년 01호
- 45°라고 알려져 있었다.그런데 최근 3~4년 동안 발표된 연구를 보면 공의 높이가 림의 높이와 같을 때 공을 던지는 최적의 각도가 45°이고, 공의 위치에 따라 각도는 달라진다고 한다. 미국의 물리학자 존 폰타넬라는 자신의 저서 ‘농구의 물리학’에서 선수의 신장에 따른 최적의 각도를 공개했다. ... ...
-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수학동아 l2011년 01호
- 불리는 중성볼펜은 유성볼펜과 수성볼펜의 단점을 한번에 해결했다. 수성잉크에 점도를 높이는 물질을 넣어서 잘 번지지 않는다. 글씨를 쓸 때는 알이 구르면서 잉크의 점도가 떨어져 수성잉크처럼 잘 써진다.수성볼펜이나 중성볼펜은 알이 작은 만큼 튼튼해야 한다. 유성볼펜과 같은 거리의 선을 ...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과학동아 l2011년 01호
- 기대를 걸었다. 그러나 모두 허사였다. 다음에는 하늘로 눈을 돌려 커다란 풍선을 하늘 높이 띄웠다. 우주로부터 들어오는 우주선(우주 인자)에 모노폴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다. 하지만 이 역시 꽝이었다.한번은 꽤 기대를 걸게 했던 일도 있었다. 1982년 2월 14일 발렌타인데이에 우주로부터 ...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더 이상 접히지 않도록 안에 철로 만든 뼈대를 넣어 고정시켰다.길이 9m, 너비 2.2m, 높이 2.5m. 웬만한 자동차보다도 큰 이 배를 강물에 띄웠다. 사람들은 뵐터를 들어 올려 배 안에 넣었다. 뵐터는 템스 강에서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예술축제 ‘드리프트10’을 위해 종이배를 타고 강을 건너는 ... ...
- ‘2010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체험전'과학동아 l2011년 01호
- 걸을 때 생기는 에너지를 모으는 자가발전 군화는 도약기능도 갖추고 있어 건물 2, 3층 높이 정도는 쉽게 뛸 수 있게 한다.➋ EMP를 투하해 적의 통신망을 망가뜨리는 게임을 가족이 즐기고 있다.➌ 스파이가 돼 감청을 해볼 수 있다.➍ 직접 헬기를 만들며 헬기의 원리를 배운다.➎ ‘유격체험’을 ...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이란 장치를 본 순간 실망할 수밖에 없었다. 지름이 50cm쯤 되는 길쭉한 드럼통이 약 4m 높이의 천정에 매달려 있는 게 전부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드럼통은 내부에 진동자와 진동 속도 측정기 등 각종 장치를 포함한 냉각 시스템으로 통 자체가 돌아간다고. 절대 영도에 가까운 극저온 실험이기 ...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년 12월 6일 NASA가 지구 궤도에 올린 초소형인공위성 ‘나노세일 D’는 가로 30cm, 세로 10cm, 높이 10cm 밖에 안 되지만 그 안에는 가로, 세로 길이가 10m나 되는 거대한 돛이 접혀 있다. 로켓에 실려 우주로 나간 이 인공위성은 두께가 약 0.0075mm인 돛을 방패연처럼 펼치고 다닌다. 우주쓰레기를 대기로 ... ...
- 우주엘리베이터의 상상과 현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위해 엘리베이터를 타는 것일까. 그러나 출발한 엘리베이터는 멈출 생각이 없는 듯 하늘 높이 솟아오른다. 창 밖으로 보이는 땅이 점점 멀어지면서 이윽고 산과 구름도 아래로 사라지고 검은 우주를 배경으로 둥근 지구의 윤곽이 드러난다. 그리고 들려오는 안내원의 목소리. “잠시 후 우주 ... ...
- 타이탄에서 얼음화산 찾았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타이탄 지표를 3D로 재구성했다”고 설명했다.NASA에 따르면 타이탄에는 분화구가 있는 높이 1000m 정도의 두 산이 있었으며, 두 개의 분화구 역시 확인했다. 얼음화산은 지표가 갈라져 위성 내부에 있는 물질이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만큼 지구의 ‘화산’과 모든 면에서 비슷하지만 극저온의 얼음과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