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부"(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공진은 무서워?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찾을 수 있다. 원하는 채널을 찾는다는 것은 방송국에서 나오는 전파의 진동수와 회로 내부의 진동수를 똑같게 해 공진을 일으키는 과정이다. 레이저는 광학적 공진을 이용한다. 레이저는 파장이 같은 파동이 완전히 겹쳐진 상태로 진동하는 빛이다. 레이저를 만드는 데는 광공진기가 쓰인다. ...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때 마그마 바다를 이루고 있던 뜨거운 달의 표면은 어느 정도 식어서 딱딱해졌지만 아직 내부까지 다 식지는 않은 상태였다. 반면 트로이 달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빨리 식었을 것이다.[아폴로15가 가져온 월석.]시뮬레이션 결과 트로이 달과 달의 충돌속도가 초속 2.4km일 때 달 지형을 가장 잘 설명할 ...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의학에서 매우 쓸모가 많을 것이다.흥미롭게도 배아의 초기 발생단계에서 배아 내부에 있는 ‘안쪽 세포덩어리(inner cell mass, 줄여서 ICM)’도 분리해 다른 배아에 넣어주면 키메라 동물을 얻을 수 있고 기형암종을 유도할 수도 있다.이런 상황을 알게 된 에번스 교수는 1978년 케임브리지대 유전학과에 ... ...
- 중국을 넘어 세계로 가는 홍콩과기대과학동아 l2011년 09호
- 거의 없는 셈이다.홍콩과기대는 공대만큼이나 경영대의 수준도 매우 높다. 홍콩 내부에서는 홍콩대와 홍콩과기대를 종종 라이벌로 비교하는데, 경영대는 홍콩과기대가 앞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곳에서는 경영과 이공학을 분리하지 않고 ‘사이언스 앤 비즈니스’라고 통칭한다. 모든 산업 ...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해체하고 재설치하는 큰 작업이었다. 빔라인 재설치 장면(➊)과 재설치된 후의 저장링 내부(➋).]“여기 보이는 빔라인(방사광을 뽑아 연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과 저장링(가속한 전자를 회전시켜 저장하는 원형 구조물) 주요부를 완전히 들어냈다가 다시 설치했습니다. 2년 동안 설계와 ... ...
- PART 3 영재들은 왜 갖고 노는 걸까?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문을 지날 수 있다. ➊처럼 벽면의 개수가 홀수 개인 방의 개수가 한 개일 때는 그 방의 내부에서 시작해 그 방의 외부에서 끝나는 회로를 구할 수 있다. ➋처럼 벽면의 수가 짝수로만 돼 있을 때는 어느 방에서 시작하더라도 모든 문을 지나는 회로를 그릴 수 있다. ➍처럼 벽면의 수가 홀수 개인 ...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준다. 이론상으로는 종잇장처럼 얇은 철판으로도 외부의 수백 기압을 견딜 수 있다. 내부에서 압력을 걸어 줄때는 물보다 주로 기름을 쓴다. 같은 압력이 걸려도 물보다 조금 더 가볍기 때문에 혹시 동력이 끊어질 경우, 가지고 있던 무게추만 바닷속에 던져 버리면 잠수함을 천천히 위로 떠오르게 ...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역사를 알아 내겠다는 거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태평양 지각을 뚫어라!지구 내부 구조 역시 지진파 자료를 분석해 지각, 맨틀, 외핵, 내핵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추측할 뿐, 아직 누구도 직접 확인하지 못했어요. 이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은 해양지각을 뚫어 지구의 역사와 구조를 알기 위한 ... ...
- PART 2. 도시 홍수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위해 건물 지붕에 홈통과 소규모 배수로를 만들어 빗물이 흐르게 했다. 이 빗물을 단지 내부의 투수구덩이로 흘려보내 빗물 속의 이물질을 여과했다. 투수구덩이가 넘치면 빗물 유도로로 흘러 단지 저지대에 있는 투수 연못으로 모인다. 이런 시스템을 구축해 빗물이 최대한 지하로 흐를 수 있도록 ... ...
- 예상보다 짧은 맨틀의 순환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맨틀, 즉 열점의 영향으로 생성된 대표적인 지역이다.이제껏 과학자들은 지각이 내부로 들어갔다 다시 나오는 데 약 20억 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해 왔다. 그런데 최근 독일 막스플랑크화학연구소의 알렉산더 소볼레브 박사팀은 지각이 1/4 수준인 5억 년 만에 다시 나온다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