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쥐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보면 스트레스는 지식을 활용하는 등 고차원적인 뇌기능을 떨어뜨리고 즉각적인 보상에 집중하게 만듭니다.”즉각적이고 자극적인 보상에 집착하는 모습도 ADHD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ADHD 환자는 평소 일에 무기력하다가도 자신이 흥미를 보이는 분야가 있으면 ... ...
- 과학기술위성 3호, 관측임무 시작과학동아 l2013년 12호
- 2초에 KAIST 인공위성센터와의 교신에 최종 성공했다.과학기술위성 3호는 이날 이후 90일간 기능점검을 마친 뒤 2년 동안 본격적인 고도 600㎞ 궤도에서 약 97분마다 지구 한 바퀴를 돌며 관측 임무를 수행한다.무게 170kg, 가로 0.8m, 세로 1m, 높이 1m 크기의 소형위성급인 과학기술위성 3호에는 다목적 ... ...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높았다. 예전에는 시설물을 최대한 싸고 빠르게 짓는 게 목표였지만 지금은 경제성이나 기능 외에도 겉으로 보이는 모습이 중요해졌다. 사람들의 눈높이가 확 달라진 것이다.김 교수는 특히 “앞으로 여학생들이 점점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건설은 거친 남자들만의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주위 피부색의 평균을 계산해서 그에 맞게 잡티색을 수정해 주는 것이다. 또, 자르기 기능을 사용할 때는 그래프 이론이라는 수학이 쓰인다. 그밖에도 의료영상등에 수학이 활용된다는 것을 듣고, 생각보다 많은 곳에 수학이 응용된다는 것을 깨달았다.특히 이런 연구를 할 때에는 복잡한 계산이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모르겠다. 하지만 실제로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들을 만나보면 어떨까.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을 밝힌 업적으로 2009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의 아다 요나트 박사는 노벨상 또한 하나의 상에 불과하다고 이야기한다.“노벨상 발표를 처음 들었을 때 정말 흥분되고 기뻤죠. 하지만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항균제 및 항생제가 발견돼 수술 후 감염의 위험도 크게 줄었다. 마지막으로 인체의 면역기능이 밝혀지면서 다른 사람의 조직이나 장기를 이식받을 수 있게 됐다. 이 결과 외과의사의 손은 환자의 뱃속은 물론 이전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심장과 폐 등의 흉강, 그리고 대뇌가 들어 있는 두개강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부르기도 했다. KHR-2 2003년 휴보의 실험용 모델. 사실상 로봇 휴보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거의 대부분 가지고 있다. 몸체가 다소 더 무겁고, 출력이 다소 약한 것이 흠이다. 휴보 (KHR-3) 2004년 KHR-1이나 KHR-2가 실험용 로봇이라면 이 로봇은 개발을 끝마친 공개형 로봇이다. 공식적으로는 한국 최초의 두 ... ...
- 딴짓하는 입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사람과 우리를 이어준다. 외부를 향해 나 있는 작은 구멍은 어떻게 이렇게 풍성한 기능을 지니게 됐을까. 입의 진화는 우리 삶의 진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딴짓하는 입INTRO. 세상엔 어떤 입이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더 잘 돌볼 수 있게 됐고, 교미하는 동안 상대방을 붙잡는 행동에 쓰는 등 좀 더 다양한 기능에 이용하기도 한다.사람에 가까워질수록 입은 감정 상태를 더 잘 나타낸다. 입을 벌려 이빨을 드러내거나 소리를 내서 감정을 표현한다. 침팬지는 입을 내밀고 야유하는 모양을 만들기도 하는 등 다른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주범이다. 게다가 토지를 사용하기 위해 숲을 파괴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기능이 떨어져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점점 늘어났다.이산화탄소는 체계적으로 대기측정이 시작된 1958년 이후로 약 20%가 증가했다. 1750년을 기준으로 본다면 무려 40%나 증가한 수치다.문제는 이 경향이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